콜레라. /자료사진=뉴스1
콜레라. /자료사진=뉴스1

2001년 이후 15년 만에 국내에서 감염된 것으로 추정되는 콜레라환자가 확진 판정을 받았다. 오늘(23일)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광주광역시 한 의료기관에서 관할 보건소로 콜레라 의심 환자 A씨(59)가 신고돼 22일 검사를 실시한 결과 콜레라균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지난 18일 출입국관리기록상 해외여행 경력이 없는 A씨는 국내에서 감염된 것으로 추정, 보건당국은 감염 경로를 파악하기 위한 역학조사를 진행중이다.

콜레라는 주로 콜라라균에 오염된 어패류나 오염된 지하수와 같은 음용수를 마셨을 때 감염된다. 지난 2001년 경상도 지역을 중심으로 전국적으로 유행한 이후 국내 발생은 15년 만에 처음이다.


콜레라의 잠복기는 보통 2~3일이며 무증상 감염이 많지만 복통없이 쌀뜨물 같은 '수양성 설사' 등이 나타난다. 드물게 환자의 대변이나 구토물 등과의 직접 접촉에 의해서도 감염될 수 있다.

질병관리본부는 "오는 9월까지 콜레라 등 수인성 식품매개 감염병의 국내 유행을 예방하기 위해 하절기 비상방역근무를 시행중"이라며 "개인위생관리를 철저히 하고 물과 음식물은 끓이거나 익혀서 섭취해야 한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