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일 부동산 전문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에 따르면 최근 서울·경기·인천 거주 20~50대 남녀 전세 세입자 1000명을 대상으로 내 집 마련 의향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전체 71.3%가 ‘지금 살고 있는 전셋집의 이주를 생각하고 있다’고 답했다.
이주 의사를 밝힌 713명에게 내 집 마련 의향을 묻자 ‘매우 있음’ 14.6%, ‘있음’ 26.8%, ‘보통’ 29.5% 등 총 70.9%(505명)가 긍정적 반응을 보였다. (표본 오차: 95% 신뢰수준에서 ±3.10%P)
전세살이에 염증을 느끼는 세입자들의 가장 큰 고민은 전셋값 상승(62.13%), 반전세 및 월세 전환요구(14.59%) 등 비용 문제였다. 특히 전셋값이 매매가의 80% 수준으로 치솟고 있는 서울에서는 “비싼 보증금을 내고도 작은 못 하나 마음대로 박지 못하느니 지역을 옮겨서라도 내 집을 마련하겠다”는 세입자들이 대다수를 이뤘다.
실제 최근 KB국민은행 부동산시세에 따르면 지난 30일 기준 서울 평균 전세가는 3.3㎡당 1257만원선이다. 서울에서 집값이 가장 비싼 강남구의 3.3㎡당 평균 전세가는 무려 1848만원.
최근 성황리에 청약을 마감한 경기 화성시 ‘동탄2신도시 반도유보라 아이비파크 10.0 2단지’가 골프장 조망권 등을 갖추고도 3.3㎡당 1060만원대의 분양가를 제시했던 것과 비교하면 가격차가 상당하다.
집을 구할 때 최우선으로 고려하는 조건은 역세권(49.80%)과 교육 여건(27.7%) 등을 제치고 근린공원이나 수변공원이 인접한 주거환경(62.30%)이 1위를 차지했다. 내 집 마련 적정 금액은 1~2억원(44.80%), 선호 면적은 전용 59~84㎡(55.70%)가 가장 높은 지지를 받았다.
![]() |
전셋값 부담에 내 집 마련을 원하는 세입자들이 늘고 있다. /자료=리얼투데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