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와사키병. 사진은 기사내용과 무관. /사진=뉴스1
가와사키병. 사진은 기사내용과 무관. /사진=뉴스1

국내 5세 미만 아동에서 가와사키병(급성열성혈관염) 발생이 꾸준히 증가 추세다. 오늘(1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하상미 박사팀이 의료기관에서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국내에서 가와사키병 환자는 최근 7년새 26.7% 증가했다.
연도별로 보면 ▲2007년 4477명 ▲2008년 4208명 ▲2009년 4364명으로 감소 추세를 보이다 ▲2010년 4970명 ▲2011년 4869명 ▲2012년 5013명 ▲2013년 5519명 ▲2014년 5662명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5세 미만(0∼4세) 환자의 경우 일본에 이어 최고 수준이다. 논문에 따르면 국내 5세 미만 환자는 2007년 3899명에서 지난 2014년 4990명으로 28.0% 증가했다.


하 박사팀은 "카와사키병의 원인이 아직 알려지지 않았기 때문에 발생율의 증가의 원인도 알 수 없는 상황"이라며 "만약 가와사키병이 감염병일 경우 원인 병원체의 독성이 강해지는 것이 발생률이 높아진 이유일 수 있다"고 해석했다.

가와사키병(Kawasaki disease)은 1967년 일본 의사 가와사키가 처음 보고한 급성 열성 혈관염이다. 일반적으로 유전학적 요인이 있는 아이가 병원체에 감염된 뒤 과민반응이나 비정상적인 면역학적 반응을 일으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