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대 용역. /자료사진=뉴스1
이대 용역. /자료사진=뉴스1

이화여대 학생들이 농성을 벌이던 중 신변보호를 위해 사설 경비용역업체 직원들을 고용하려 했다는 의혹이 제기돼 경찰이 수사에 나섰다. 이대 학생들의 교수 감금 사건을 수사중인 서울 서대문경찰서는 학생 2명이 사설용역업체 직원들을 동원한 정황을 확인하고 이들을 소환 조사할 방침이라고 지난 5일 밝혔다.
경찰에 따르면 지난 7월28일 경찰이 학교 측의 요청을 받고 경력 1600명을 동원해 본관에 진입하던 날 농성 중이던 학생들 중 일부가 사설 용역업체에 연락해 신변보호를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연락을 받은 용역업체 관련 직원들은 이화여대 교정으로 들어왔지만 경찰이 투입된 현장의 상황을 보고 학생들의 신청을 받아들이지 않고 현장을 떠났다.


사설용역업에 대한 허가를 갖고 있지 않은 업체가 신변보호를 위해 현장에 투입됐다는 점에서 경찰은 이를 경비업법을 위반했는지 조사중이다.

학생 측은 신변보호를 위해 경비 업체를 부른 것일 뿐 용역 관계자들은 시위 과정에 전혀 참여하지 않았다고 주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 관계자는 "(조사받은 이대생 3명은) 인적사항 외에는 모두 묵비권을 행사했다"며 "기소 의견 결정 여부는 검찰과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화여자대학교 평생교육 단과대학(미래라이프 대학) 설립 계획 철회를 요구하며 지난 7월28일 점거농성을 시작한 이대 학생들은 최경희 이대총장이 계획 추진을 전면 백지화하기로 결정했지만 총장의 사퇴를 요구하며 41일째 농성을 이어나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