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재난지역 선포 검토. 경북 경주 지역에서 두 차례 발생한 지진의 영향으로 어제(18일) 오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된 국보 제20호 불국사의 다보탑 옥개석 난간석(오른쪽 가운데)이 파손된 것으로 확인됐다. /자료사진=뉴시스
특별재난지역 선포 검토. 경북 경주 지역에서 두 차례 발생한 지진의 영향으로 어제(18일) 오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된 국보 제20호 불국사의 다보탑 옥개석 난간석(오른쪽 가운데)이 파손된 것으로 확인됐다. /자료사진=뉴시스

새누리당과 정부가 지진으로 피해 입은 경북 경주 지역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하는 것을 검토키로 했다. 이성호 국민안전처 차관은 어제(18일) 국회에서 열린 지진 관련 대책 당정 간담회에서 "경주 지역에 대한 2차 조사를 신속히 완료하고 요건이 충족되면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하겠다"고 말했다.


특별재난지역 제도란 큰 피해를 입은 재난 지역에 대해 행정·재정·금융·의료 등 특별 지원을 해주는 것을 말한다.
이 차관은 이날 간담회에서 "(특별재난지역 선포 요건상) 경주의 경우 피해액이 75억원을 넘어야 한다"며 "그러나 2차 피해가 있는 만큼 다시 조사를 해 (요건이 충족될 경우)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하겠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이정현 대표는 "가급적 조사를 빨리 진행하되 특별재난지역 선포 요건에 근접하게 되면 최대한 빨리 복구가 이뤄질 수 있도록 조치해줬으면 한다"고 말했다.


경주를 지역구로 둔 김석기 새누리당 의원은 "국민안전처에서 재난특별지원금을 줘 대단히 감사한데 제가 생각하기에는 이것 갖고는 피해 복구에 턱없이 모자란다"며 "조속한 시일 내에 경북 지역을 재난특별지역으로 선포해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복구 될 수 있도록 해달라"고 요청했다.

또 당정은 지진 피해 지역에 대한 정부 합동조사도 검토키로 했다. 이날 이정현 대표가 "이번 지진은 유례가 없는 재난인 만큼 정부 차원에서 합동조사를 한 번 해보는 게 어떻겠냐"고 묻자 이석준 국무조정실장은 "그렇게 하겠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