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동익 현대증권 애널리스트는 이날 보고서에서 "2014년 이전 중공업부문 수주부진으로 올해 상반기까지 매출감소세가 이어졌으나 3분기부터는 지난해 수주분의 매출반영이 본격화되면서 외형성장이 부각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정 애널리스트는 "1조원 규모의 사우디아라비아 발전소, 신한울 3·4호기 원전 주기기(약 2조1000억원), 남아공 발전소(약 1조1000억원), 베트남 발전소(약 8000억원), 국내 화력발전소 주기기(약 7000억원) 등의 수주 건이 9월 말 이후 이어지면서 수주모멘텀도 본격화 될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두산중공업은 중공업부문의 펀더멘털이 견조하다"며 "하지만 두산인프라코어와 두산건설 등 자회사의 재무리스크와 이에 따른 이 회사의 지원가능성 등이 주가에 악재로 작용해 왔다"고 지적했다.
정 연구원은 "두산인프라코어의 공작기계부문 매각과 두산밥캣의 기업공개(IPO), 두산건설의 메카텍부문 등 매각에 힘입어 주요 자회사의 재무리스크는 해소국면에 들어섰다"며 "두산중공업의 부담이 크게 완화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4분기 수주모멘텀과 하반기 실적개선, 3% 안팎의 높은 배당수익률 등이 돋보일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