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국정감사. 오늘(27일) 오전 서울 서초구 한 대형마트에서 마트 관계자가 가습기 살균제 성분이 검출된 치약들을 회수해 정리하고 있다. /사진=뉴스1
환경부 국정감사. 오늘(27일) 오전 서울 서초구 한 대형마트에서 마트 관계자가 가습기 살균제 성분이 검출된 치약들을 회수해 정리하고 있다. /사진=뉴스1

환경부 국정감사에서 정의당 이정미 의원이 아모레퍼시픽에서 제조하는 메디안 치약에서 가습기살균제 성분이 검출된 것과 관련해 "아모레퍼시픽뿐 아니라 30개 업체에 공급됐다"고 지적했다.
오늘(27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이정미 의원은 "'CMIT·MIT(메칠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메칠이소치아졸리논)'가 함유된 원료물질이 30개 업체에 추가로 납품돼 30개 업체가 이 물질을 이용해 비누, 샴푸, 구강청결제를 만든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명단에 따르면 미원상사는 CMIT·MIT가 들어간 원료물질 12종을 아모레퍼시픽을 포함해 30개 업체에 납품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치약과 구강청결제 등에 사용하는 원료물질은 7종이며, 22개 업체가 이 제품군을 납품받았다.


이 22개 업체 가운데 아모레퍼시픽 치약과 같은 원료물질을 사용한 업체는 중코씰과 미성통상, 아이티산업 등 3곳이다. 나머지 6종을 사용한 업체 중 국내 기업은 코리아나 화장품 등 14곳, 외국 기업은 NORMAN FOX& CO 등 4곳으로 파악됐다.

이 의원은 "문제는 이들 업체가 수년 간 CMIT·MIT가 함유된 원료로 제품을 만들어 판매했지만 어떻게 유통시켰는지 확인이 안 되고 있다는 점"이라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치약과 구강청정제 등으로 사용되는 원료물질을 전수 조사하고 다른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 원료물질이 어떤 제품에 사용됐는지 산업통상자원부와 함께 점검해야 한다"며 "유독물로 지정된 CMIT·MIT를 생활용품에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근본적인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조경규 환경부 장관은 "식약처와 함께 협의해 전수조사하고 회수명령 조치를 내리겠다"고 답했다.

한편 식약처는 이날 메디안 치약 등 아모레퍼시픽 제조치약 11종을 회수조치했다. 식약처의 이번 회수 대상제품은 이번 회수 대상 제품은 아모레퍼시픽의 ▲메디안후레쉬포레스트치약 ▲메디안후레쉬마린치약 ▲메디안바이탈에너지치약 ▲본초연구잇몸치약 ▲송염본소금잇몸시린이치약 ▲그린티스트치약 ▲메디안바이탈액션치약 ▲메디안바이탈클린치약 ▲송염청아단치약플러스 ▲뉴송염오복잇몸치약 ▲메디안잇몸치약 등 11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