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난달 30일 서울 종로구 서울대학병원 장례식장 고 백남기 농민 빈소 접견실에서 열린 서울대병원에 보내는 백남기 농민 유가족의 공개질의에서 고 백남기 농민의 CT촬영 사진을 공개하고 있다./사진=뉴시스DB |
서울대병원 관계자는 "원래 오는 14일 국정감사 자리를 통해 해명하려고 했으나 논란이 자꾸 커지고 있어 계획을 앞당겼다"며 "이미 별도의 위원회를 구성해 논의에 들어간 상황"이라고 3일 밝혔다.
서울대병원의 결정은 최근 발표된 백씨의 사인과 사망진단서에 표시된 '사망의 종류'를 두고 '외압 의혹'까지 불거져 나온 것에 따른 고육지책으로 보인다.
서울대병원은 지난달 25일 백씨 사망 판정을 내리면서 공식 사인을 사망진단서 상 중간선행사인인 '급성신부전증'이라고 발표했다. 또 '사망의 종류'에서 '병사' 부분에 체크를 했다.
백씨 사망진단서에는 선행사인이 급성 경막하출혈, 중간선행사인이 급성신부전증, 직접사인이 심폐기능정지로 돼 있다.
이에 대해 인도주의실천의사협의회 우석균 공동대표는 백씨 사망 당일 장례식장에서 가진 브리핑에서 "사망진단서 맨 아래 칸에 쓰는 선행사인을 원 사인이라고 하는 게 맞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