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영 KBS 사장이 오늘(11일) 서울 영등포구 국회에서 열린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의 KBS와 EBS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질의에 답하고 있다. /사진=뉴스1
고대영 KBS 사장이 오늘(11일) 서울 영등포구 국회에서 열린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의 KBS와 EBS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질의에 답하고 있다. /사진=뉴스1

고대영 KBS 사장이 답변 태도로 논란을 빚었다. 고대영 KBS 사장은 오늘(11일)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의 KBS(한국방송공사)와 EBS(한국교육방송공사)에 대한 국정감사에 참석했다.
유승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이날 김인영 KBS 보도본부장에게 "이정현 전 청와대 홍보수석(현 새누리당 대표)이 KBS 보도본부장에게 외압성 전화를 했다는 내용에 대해 기자들이 기사를 작성했는데 왜 보도를 안 했는가"라고 질문했다.

이에 고 사장은 "보도본부장은 보도를 책임지는 책임자"라며 "(특정 기사가) 나갔는가 안 나갔는가를 보도 책임자에게 묻는 것은 언론 자유 침해의 소지가 있다"고 대답했다. 이어 "나에게 묻는 것은 내가 답하겠지만 보도 책임자에게 보도 내용을 묻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설명했다.


유 의원이 "지금 나에게 훈시를 하는 것인가"라고 말하자 고 사장은 "내 입장을 얘기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유 의원은 다시 보도본부장에게 "답변하라"고 촉구했다. 이에 고 사장은 보도본부장에게 "답변하지 마"라고 지시했다.

박홍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금까지 국회 역사에서 이런 일이 있었는가"라며 "아무리 자기 부하직원이라고 하지만 국정감사장에서 반말로 의원의 질의에 대답하지 말라고 지시했다"고 지적했다. 이에 새누리당 의원들은 "언론은 언론의 자유에 대해 말할 자유가 있다"고 반박했다.

신상진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새누리당)은 유 의원의 정회 요청을 받아들여 "잠시 정회를 하고 이 상황에 대해 논의한 후 다시 속개하는 것으로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