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MH급 헬기. 육군 특수전부대 대원들이 강원 강릉시 해상 척후조 훈련장에서 CH-47 헬기를 이용한 소프트 덕(soft duck) 침투훈련을 하고 있다. /자료사진=뉴시스 |
MH급 헬기 도입 등 우리 군이 특수전 전력 개선에 나선다. 육군 특수전 사령부는 어제(12일) 충남 계룡대에서 열린 국회 국방위원회 국정감사에서 MH급 헬기 도입을 비롯한 특수작전항공부대 편성 계획을 밝혔다.
특전사는 이 자리에서 "은밀 침투 항공전력 확보를 위한 특수작전항공부대 편성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전사는 또 "전략적 특수임무 수행을 위한 특수작전부대 편성도 추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앞서 군 당국은 북한의 5차 핵실험 이후 '3축 체계' 일환으로 북한이 핵도발 징후를 보이면 김정은 정권 등 군 지휘부를 궤멸한다는 내용이 포함된 대량응징보복(KMPR) 개념을 발표했다. 그러나 우리 군은 특수부대 침투 자산을 확보하지 못해 실제 작전 실행이 어려울 것이라는 지적이 많았다.
이에 특전사와 육군본부는 침투수단 확보 계획 등을 밝혔다. 육군본부는 업무보고 자료를 통해 "한국군의 독자적인 특수작전 수행능력을 구비하기 위해 공중침투자산인 MH급 헬기, 소형위성통신 장비, 특수작전용 기관총 등을 확보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MH급 헬기는 주한 미군이 운용중인 특수작전용 헬기인 MH-47과 유사한 기종으로, 공중급유장치가 장착돼 있으며 적진 지형 자동 탐색이 가능한 레이더를 탑재하고 있다. 또 악천후 기상에도 특수전 병력 40여명을 태우고 적진 600여㎞까지 침투할 수 있다. 육군은 빠르면 2018년까지 MH-47을 실전배치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