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수지 서비스 분야에서 건설수지가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16일 한국은행 국제수지 통계에 따르면 올해 1∼8월 건설수지 흑자는 59억7460만달러로 1년 만에 10.2% 줄었다.
건설수지는 우리나라가 해외건설로 번 공사대금 등 수입액에서 현지 자재구입비와 임금지급액 등을 뺀 금액을 말한다. 올해 들어 건설수지 월평균 흑자는 7억4600만달러 수준이고 한 차례도 10억달러를 넘지 못했다. 이런 추세로는 연간 건설수지 흑자가 2010년 이후 6년 만에 100억달러에 미치지 못할 것으로 예상된다.
건설수지 흑자규모는 2008년 110억7860만 달러로 100억달러를 돌파했고 이듬해 117억4680만달러로 늘었다. 이후 2012년 163억4540만달러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그러나 국제유가가 배럴당 30∼40달러대로 떨어지면서 중동 등 산유국의 대형공사 발주가 줄었고 건설수지도 2013년 155억2250만달러, 2014년 152억8790만달러로 감소했다. 작년에는 104억9230만달러로 1년 사이 31% 급감했다.
올해도 해외건설 실적은 부진하다. 해외건설협회에 따르면 지난 9월21일까지 해외건설 수주액은 총 184억719만8000달러로 전년동기대비 53.7%에 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