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뉴스1 황희규 기자 |
적자 가구 비율이 역대 최저치 수준으로 떨어졌다. 적자 가구 비율이 줄었다는 것은 소비가 줄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만큼 내수시장이 타격을 받고 있음을 시사한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적자 가구 비율은 20%로 관련 통계가 작성된 2003년 이래 최저 수준이다. 적자 가구는 가처분소득보다도 소비 지출이 더 많은 가구를 말한다.
적자 가구 비율은 2005년 1분기 역대 최고인 31.4%를 기록한 뒤 서서히 감소세를 이어오다 2012년부터 20%대 후반대를 유지하던 적자 가구 비율이 본격 꺾이기 시작했다. 지난해 3분기(20.8%)에 이어 올해 2분기 20%까지 최저치를 찍고 지금은 적자가구비율이 10%대까지 넘볼 지경에 이르렀다.
이처럼 적자 가구 비율이 줄어드는 것을 단순히 수치로만 보면 가계가 부채에 의존하지 않아도 된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지금처럼 소비가 둔화된 상태에서 적자 가구가 역대 최저치라는 것은 그만큼 가계가 미래 불안감 때문에 지갑을 꽉 닫았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전문가들은 적자가구 비율이 내려간 것은 소비여력이 없다기 보단 미래의 불안감때문에 돈을 쥐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따라 기업과 경기주체들의 소비 심리 진작이나 고용 시장 정책을 확대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