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최근 지방 소도시들의 분양권 실거래가 총액이 수도권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뉴시스 DB |
26일 부동산 전문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에 따르면 최근 올 1~9월까지 국토교통부의 분양권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광역시를 제외한 지방 소도시들의 분양권 실거래가 총액이 수도권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지방 중소도시 중 경남 양산시가 1조9861억6478만원 거래되며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뒤이어 충남 천안시(6267억2586만원), 경남 김해시(6126억5793만원), 충북 청주시(4292억802만원) 등도 높은 분양권 실거래 총액을 기록했다.
이는 같은 기간 서울 서초구(4020억2903만원), 경기 수원시 권선구(3361억3028만원)의 분양권 실거래 총액을 크게 웃도는 수치다.
아파트 매매 실거래가 총액 조사에서도 지방 거점도시들의 활약이 돋보였다. 전북 전주시는 1조7806억1352만원의 매매 실거래가 총액을 기록했고, 경남 창원시(1조6270억6587만원), 경남 김해시(1조4232억5312만원), 충북 청주시(1조2510억9816만원)도 1조원을 넘어섰다.
‘강소도시’로 불리는 이들 지역은 뛰어난 자족기능을 갖추고 있어 배후수요가 풍부하다. 대규모 택지지구가 조성되거나 교통·산업 등 대형 개발호재가 있는 지역들도 많다.
실제 경남 김해시는 지난 6월 영남권 신공항 선정에서 기존 김해공항의 확장안이 공표되면서 큰 주목을 받았다. 대규모 인구 유입과 물류·산업단지 조성이 가시화되면서 주택시장도 가파른 상승세다.
충북 청주시도 올해 청주산업단지를 도시형 첨단 산업단지로 업그레이드하는 리모델링 사업에 착수했다. 지난 1월에는 SK하이닉스가 청주테크노폴리스에 약 15조원의 투자를 결정하면서 충청권의 대표적인 산업도시이자 거점도시로서 자존심을 세웠다.
연내 분양을 앞둔 지역들 중 중소 거점도시들의 인기도 상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우선 현대산업개발은 다음달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가경동 656번지 일원에 ‘청주 가경 아이파크’를 분양할 예정이다. 단지는 지하 2층(일부 1층)~지상 29층, 7개동 전용면적 59~114㎡ 총 905가구 규모다. 단지 동측으로 청주 제2순환로가 위치하며 중부고속도로 서청주나들목(IC), 경부고속도로 청주IC, 충북선 청주역, KTX 오송역 등 여러 광역교통망들도 인접해 전국 각지를 쉽고 빠르게 오갈 수 있다.
신영은 같은달 충북 청주시 흥덕구 송절동 테크노폴리스 일반산업단지 A1블록에 ‘청주 테크노폴리스 지웰’을 분양할 예정이다. 최고 24층, 5개동 전용 84㎡ 단일면적으로만 구성되며 총 336가구다. 단지가 위치한 청주테크노폴리스는 지자체 주도로 진행하는 도시개발사업지로 상업시설용지, 주거용지, 공공시설용지 등을 포함 총 152만7575㎡ 규모로 조성된다. SK하이닉스 공장과 인접하고 있으며 인근에 위치한 중부고속도로를 이용하기 편리하다.
GS건설과 현대건설도 경남 김해시 율하동에 ‘율하 자이 힐스테이트’를 분양할 예정이다. 전용 74~84㎡ 총 1245가구 규모다. 금관대로, 남해 제2고속도로, 웅동~장유간 도로(예정)를 통해 창원·부산 이동이 수월하다 김해외국어학교, 율하고, 경상남도외국어영재교육원, 수남초, 수남중 등이 있어 교육환경도 뛰어나다.
SM우방은 12월 충남 천안시 와촌동 일대에 ‘천안 와촌 우방 아이유쉘’을 분양할 예정이다. 전용 65~84㎡ 총 1107가구의 대규모 단지로 조성될 전망이다. 천안역 초역세권 단지라 교통편이 우수하며 경부고속도로 이용도 수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