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남주하 한국수출입은행 경영혁신위원장(사진 왼쪽, 서강대 교수)와 홍영표 수은 전무이사(사진 오른쪽)가 31일 오후 서울 여의도 수은 본점에서 리스크관리 강화 및 자구노력, 신성장산업 지원 확대 등을 주요내용으로 한 '수은 혁신안'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수출입은행 |
한국수출입은행이 조직 슬림화에 나선다. 내년 예산을 3% 감축하고 해외사무소 및 조직관리자수를 각각 10% 줄일 계획이다.
한국수출입은행이 구조조정 전문성과 리스크관리 강화, 경영투명성 제고를 골자로 하는 쇄신안을 31일 발표했다.
지난 6월 말 혁신안 이후 4개월 만의 추가 혁신안이다. 당시 부실 혁신안이라는 비난 여론이 들끓자 외부 인사를 초빙, 혁신위원회를 구성해 쇄신안을 마련했다.
우선 내년 예산은 3% 축소하고 조직관리자수도 10% 줄일 방침이다.
기존 자구 노력에 더해 해외사무소 인원은 10% 축소하고 상임이사 1명을 감축하며 부행장도 10명에서 2명으로 줄일 계획이다. 다만 상임이사의 경우 1명 축소하는 대신 사외이사 1명을 추가할 방침이다.
2018년에는 상임이사가 1명으로 줄어든다. 여기에 임직원의 구조조정 기업 상근·비상근직 재취업도 전면 금지된다. 지난 자구안의 원칙적 금지에서 전면 금지로 내용이 강화된 것이다. 관련 준법감시인 제도도 도입한다. 아울러 전문역량 축적을 위해 부서이동 주기도 3년 이상으로 늘린다.
이렇게 되면 전 직원은 올해 962명에서 2021년 914명으로 5% 줄어든다.
구조조정 강화 방안도 내놨다. 여신심사체계를 정비하고 신용공여한도를 축소해 업무계획에 리스크를 반영한다. 리스크관리위원회의 독립성과 위상도 강화시킬 방침이다. 또한 여신부서와 심사부서의 1,2차 신용평가와 신용등급감리를 골자로 신용평가 3심제를 실시한다. 프로젝트 금융에는 사전 심사제도도 도입할 예정이다.
구조조정 담당 조직은 ‘단’에서 ‘본부’로 격상하고 구조조정·리스크 전담 인력은 15% 늘린다. 이를 통해 2020년까지 부실여신 비율 2%를 달성할 계획이다. 2017~2020년까지 2조4000억원에서 4조원의 추가 충당금 적립 여력이 있다.
향후 역할도 기존 조선과 건설 플랜트 위주 지원에서 신시장, 성장산업 육성으로 바꿔나가겠다는 입장이다. 근본적인 수출부진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의지로 해석된다. 인프라와 신성장산업 지원 비중은 2020년까지 2배로 확대할 계획이다.
아울러 내년부터 동일인과 동일차주에 대한 자기자본대비 신용공여 한도를 신용공여한도를 20~30%포인트 축소한다. 각각 60%→40%, 80%→50%로 낮출 예정이다.
신용공여한도는 특정 기업으로의 여신 쏠림을 막기 위해 같은 법인 등에 대한 신용공여 합계액이 금융사 자기자본의 일정비율을 초과하지 못하도록 한 장치다. 2005년 각각 40%(동일인), 50%(동일차주)였던 규제가 2012년 각각 60%, 80%로 완화됐다.
남주하 수은 경영혁신위원장(서강대 교수)은 "이번 혁신안은 리스크관리와 여신심사 시스템을 전반적으로 개편해 견제와 균형 기능이 효과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체계를 만드는데 초점을 뒀다"며 "수은의 가장 큰 문제점은 정책금융 역할에 치중하다 보니 자금 공급을 해마다 확대하면서도 자본건전성 확보와 리스크관리에 대한 진지한 고민이 부족했다는 것"이라고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