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5 대책 이후 아파트 매매 상승률 높은 곳(지난 8월26일 대비 10월28일 기준). /자료=부동산114
8·25 대책 이후 아파트 매매 상승률 높은 곳(지난 8월26일 대비 10월28일 기준). /자료=부동산114
정부가 8·25 가계부채 대책을 발표한지 두 달이 지난 가운데 강남지역을 비롯해 재건축 이슈가 있는 지역을 중심으로 아파트값이 가파르게 상승했다.
30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이 같은 상황에서 강남구라도 재건축 아파트가 일반 아파트에 비해 2배 이상 높은 상승률을 기록 했다.

또 아파트 분양시장도 호조세를 보이며 8·25 대책 발표 이후 분양된 서초구 아파트는 평균 306.6대 1의 높은 청약 경쟁률을 나타냈다.


◆강남4구·재건축 이슈 지역 많이 올라

8·25 대책 이후 수도권에서 아파트 매매가격이 가장 많이 오른 곳은 양천구로 4.2% 상승했다. 이어 강남4구로 불리는 강동구(3.13%), 서초구(3.02%), 송파구(3.00%), 강남구(2.99%) 순으로 높게 상승했다.

양천구는 재건축 가능연한 단축(40년→30년) 호재로 투자 수요 발길이 이어지면서 가격 오름폭이 컸다. 1~14단지로 구성된 목동아파트는 오는 ‘2018년이면 대부분 재건축 가능 연한을 충족한다.


최근 부동산 규제 움직임에 상승세가 주춤해졌지만 강남4구 아파트값도 재건축 아파트에 수요가 몰리면서 많이 올랐다. 경기도에서는 과천시 아파트값이 크게 올랐다. 과천 역시 주요 단지들의 재건축 사업이 본격화되면서 큰 관심을 모았다.

과천주공 1·2·4·5·6·7-1·8·9·10·12단지 등이 재건축 사업을 진행 중이다. 올 상반기 분양을 마친 과천주공7-2단지(래미안센트럴스위트)는 평균 36.2대1의 높은 청약 경쟁률을 보였다.

◆같은 강남도 재건축과 일반 아파트 큰 온도차

8·25 대책 이후 강남권 아파트가 가격 상승을 이근 가운데 재건축 아파트와 일반 아파트 분위기는 다른 양상이다.

강남4구 재건축 아파트 가격은 일반 아파트에 비해 2배 이상 오름폭이 컸다. 재건축 아파트는 서초구가 5.63% 오른 것을 비롯해 송파구(5.55%), 강동구(4.83%), 강남구(4.35%) 등이 모두 큰 폭으로 올랐다.

큰 폭의 상승세가 이어지며 지난달 초에는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 재건축 아파트값이 3.3㎡당 4012만원으로 사상 처음 4000만원 대에 진입하기도 했다.

하지만 재건축을 제외한 일반 아파트는 서초구가 1.65%, 송파구 2.37%, 강동구 2.10%, 강남구 1.91% 상승하는데 그쳤다. 같은 지역구라 해도 일반 아파트와 재건축 아파트가 큰 온도차를 보였다.

◆분양시장 열기, 강남권이 주도

수도권 분양시장 열기도 강남권이 이끌었다. 8·25 가계부채 대책 이후 두 달 동안 분양한 단지들을 분석한 결과 청약 경쟁률은 강남구가 평균 100.6대 1로 가장 높았다. 이어 서초구(78대 1), 마포구 (69.3대1), 영등포구 (52.4대 1), 화성시 (24.3대 1), 강동구 (22.2대 1), 송파구 (22.1대 1) 순으로 나타났다.

8·25 대책 발표 직전 1순위 청약 접수를 받은 강남구 개포동 디에이치아너힐즈(개포주공3단지 재건축)역시 평균 100.6대 1의 높은 청약 경쟁률을 기록했다.

지난달 분양한 서초구 잠원동 아크로리버뷰(한신5차 재건축)는 일반 공급 28가구 모집에 8585명이 몰려 306.6대 1의 평균 청약 경쟁률을 보였다. 이는 올해 수도권에서 분양한 아파트 중 가장 높은 청약 경쟁률이다.

이 밖에도 강남구 일원동 래미안루체하임, 강동구 고덕동 고덕그라시움, 서초구 반포동 신반포자이, 송파구 송파두산위브 등 강남권에서 분양한 아파트는 대부분 수 십대 1의 높은 청약 경쟁률을 나타냈다.

◆부동산 대책 발표 D-1… 파급효과는?

강남권을 중심으로 아파트값이 과열 양상을 보이면서 이를 진정시키기 위한 부동산시장 안정화 대책이 3일 발표된다.

이 가운데 강남 재건축 시장은 소강상태에 접어들었다. 10월 마지막주 서울 재건축 아파트 값은 보합세를 보이며 32주간 상승랠리를 마감했고 강남과 송파는 소폭 하락했다.

전문가들은 분양권 전매제한기간 강화, 재당첨 금지, 1순위 청약 조건 강화 등의 대책이 발표 될 것으로 전망한다.

부동산114 관계자는 “정부 대책 수위에 따라 시장 전망도 엇갈릴 것으로 보인다”며 “정부가 단계적·선별적 시장 안정대책을 예고한 만큼 대책은 부동산 시장 냉각 보다는 안정화에 초점을 맞출 것”이라고 예측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