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채동욱 전 검찰총장. /자료사진=뉴스1 |
채동욱 전 총장이 특검 제의가 오면 수용하겠다고 밝혔다. 채동욱 전 검찰총장은 어제(15일) JTBC 뉴스룸과 가진 인터뷰에서 박근혜정부 최순실 게이트 수사를 위한 특별검사제가 도입돼 특검 제의가 올 경우 수용하겠다는 의사를 전했다.
이날 채동욱 전 총장은 최근 여야가 최순실 게이트 수사를 위해 특별검사제를 도입하기로 합의한 가운데 특별검사 후보로 자신이 거론된 데 대한 질문을 받았다. 채동욱 전 총장은 “물러서거나 피하지 않겠다. 정치적 중립성을 엄격히 지키면서 철저히 수사할 것”이라며 특검 제의가 올 경우 적극적으로 수용하겠다는 뜻을 피력했다.
채동욱 전 총장은 또 이번 사태에 대한 소견을 전하기도 했다. 채 전 총장은 특검 조사기간이 120일로 설정된 것에 대해 “국정 공백을 우려해서 짧게 잡은 것 같다”고 말했다. 또 “수사검사 20명, 수사관 40명으로는 너무도 부족하다”며 특검 인력이 수사를 하기에는 모자라다는 지적도 했다.
이어 “정당한 사유 없이 출석을 거부하거 타인의 범죄혐의에 대해 허위 진술하는 참고인들에 대한 강력한 처벌조항도 시급히 보완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며 현재 합의된 특검법안의 문제를 거론하기도 했다. 채동욱 전 총장은 “국민들이 현 정권과 현재의 검찰을 전혀 신뢰할 수 없다. 정의를 세워야 할 검찰을 권력의 하수인으로 전락시킨 정권의 업보”라며 현 정부의 행태를 강하게 비판하기도 했다.
채동욱 전 총장은 박근혜정부 초기 검찰총장으로 임명돼 국정원 댓글 사건 수사를 주도하다 혼외자 의혹 보도가 불거지면서 결국 사임했다. 그러나 당시 보도에 대한 구체적인 사실이 지금까지도 확인되지 않아 외압에 따른 사임이었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돼왔다.
사임 후 외부활동이 없었던 채동욱 전 총장은 최근 한 언론을 통해 최순실 게이트 등 각종 비리 의혹에 빠진 박근혜정부에 대한 비판적 의견을 내며 대중들에 다시 모습을 드러냈다. 이후 최순실 게이트 수사를 위한 특검 도입이 국회에서 합의됨에 따라, 채 전 총장이 특검 후보로 적합하다는 여론이 떠오르고 있다.
다만 여야 1명씩 추천한 특검 후보 가운데 대통령이 1명을 최종 임명하기 때문에 채동욱 전 총장이 실제 후보로 추천되더라도 특검에 임명될 지는 미지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