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TBC 손석희 문재인. 문재인 전 민주당 대표(한 가운데)가 28일 오후 대전 유성구 궁동의 한 카페에서 열린 "대전지역 대학생과 함께하는 시국대화" 에서 학생들과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자료사진=뉴시스
JTBC 손석희 문재인. 문재인 전 민주당 대표(한 가운데)가 28일 오후 대전 유성구 궁동의 한 카페에서 열린 "대전지역 대학생과 함께하는 시국대화" 에서 학생들과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자료사진=뉴시스

문재인 전 대표가 JTBC 뉴스룸에 출연했다. 각종 비리의혹을 받고 있는 박근혜 대통령에 즉각  퇴진을 요구하고 있는 문재인 전 민주당 대표는, 어제(28일) 저녁 방송된 JTBC 뉴스룸에서 손석희 앵커와 시국에 대한 이야기 등을 나눴다.
문재인 전 대표는 이날 JTBC 뉴스룸에서 대통령 탄핵 정국, 퇴진 여론 등에 대한 질문을 받았다. 문재인 전 대표는 대통령 퇴진에 대해 "친박까지 퇴진을 말하니 (대통령이) 자진해서 물러나는 게 답이라고 말하고 싶다"며 자신의 입장을 명확히 했다.

다만 집권당인 새누리당 친박계들까지 퇴진을 주장하는 데 대해서는 "왜 이 시기에 그런 주장을 하는지 정치적 속내가 궁금하고 한 편으로 의심스럽다. 탄핵 의결을 막거나 늦추고자 하는 정치적 의도가 담겨 있다면 결코 용납할 수 없는 일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문 전 대표는 대통령이 하야를 거부할 경우에는 탄핵 추진도 그대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러나 "박 대통령도 버텨봤자 기다리는 건 탄핵뿐이지 않나. 탄핵은 강제로 쫓겨나는 것이다. 수치스러운 결과를 선택하기보다 스스로 물러나는 것이 국가나, 국민들, 그리고 자신의 명예를 지키는 일"이라며 거듭 자진 퇴진을 주장했다.

문 전 대표는 퇴진에 대해서도 "즉각적이고 조건없는 퇴진이 답"이라며 다른 조건을 내걸어 정치적인 거래를 해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퇴진 시 치러지는 조기 대선에 대해서 문 전 대표는 "헌법에 정해진 절차를 따르면 된다. 그게 어렵다면 합리적인 결정들을 국민들이 공론을 모아 정하지 않겠느냐"고 답했다.

손석희 앵커가 "선거가 치러지면 받아들이겠냐는 질문이었다"며 대선 출마에 대한 뜻을 묻자 "조기대선이 갑자기 닥쳐와서 각 당이 대선을 제대로 준비하기 어렵고, 국민들이 제대로 후보를 선택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면 당연히 국민들이 그에 대한 의견을 표출할 것"이라며 원론적인 입장만 내놨다.


손 앵커가 "퇴진 60일 이후 치러지는 대선절차를 어길 수도 있는 것이냐"고 재차 묻자 문 전 대표는, "대통령이 자진해서 물러나든, 탄핵으로 가든 후속 절차는 헌법에 있다… 그것을 넘어선 정치적 해법이 필요하다면 그건 국민 여론이 만들어줄 거라는 말이다. 일어나지 않은 상황을 두고 거기까지 얘기하는 것은 시기상조"라고 답했다.

이어 탄핵에 대해 너무 낙관하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 문 전 대표는 "낙관이 아닌 당위다. 지금 대통령에 대한 탄핵 사유는 넘쳐난다. 아주 무겁다. 즉각 퇴진 요구하는 국민들 민심도 고고하다. 헌법재판소도 감히 다른 결정을 할 수 없을거라 믿는다"며 탄핵 또는 퇴진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는 주장을 다시금 확인했다.

또 뇌물이라던가, 세월호 7시간이라던가, 해외 무기 도입 등과 관련해 추가적 검찰 수사나 특검에서 확인될 거라고 생각한다. 그렇게 되면 탄핵 사유가 더 늘어날 것"이라며 앞으로도 대통령 비위가 더 드러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야권 내에서 논란이 되고 있는 개헌 문제에 대해선 지난 대선 때 개헌을 공약하기도 했었다. 하지만 이 시기에 개헌을 말하는 건 순수하지 못하다. 지금은 개헌을 논의할 시기가 아니라, 대통령 퇴진에 전념할 시기다"라며 현 시점에서 개헌논의에 반대한느 입장을 분명히 했다.

문 전 대표는 또 "지금 개헌을 논하는 건 국면 전환을 해 물줄기를 바꾸려는 불순한 의도가 있다고 생각한다. 한편으론 대통령의 헌법 파괴와 국정농단에 함께 책임져야 할 새누리당이 개헌을 매개로 한 정계 개편으로 또다시 집권 연장을 하는 일이기에 결코 용납할 수 없다"고 못박았다.

한편 어제 박근혜 대통령이 변호인을 통해 다시 한번 검찰 대면조사를 거부해 논란이 그치지 않고 있다. 앞서 두차례 서면조사 요청도 변호 준비 등의 이유로 거부한 박 대통령은, 어제는 국정 운영 등에 따라 일정이 여의치 않다는 이유로 오늘(29일)까지 시한을 정한 검찰 대면조사를 거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