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진해운 선박이 미국 롱비치 항에 화물을 하역하는 모습. /자료사진=뉴시스 DB
한진해운 선박이 미국 롱비치 항에 화물을 하역하는 모습. /자료사진=뉴시스 DB

한진해운이 보유한 미국 롱비치터미널 지분 54%이 누구에게 인수될지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우선협상권을 가진 삼라마이다스(SM)그룹 소속 대한해운과 현대상선의 공동 인수방안이 거론되는 가운데, 우선매수청구권을 가진 MSC의 결정이 최종 인수자를 판가름할 것으로 보인다.
30일 해운업계에 따르면 대한해운측은 최근 한진해운이 보유한 롱비치터미널 관리법인 TTI 지분 54%를 현대상선과 절반씩 인수하는 방식을 검토해 정부에 의사를 전달했다.

앞서 한진해운의 법정관리를 담당하는 법원은 이 회사의 미주노선 영업망 등 자산매각 본 입찰에서 대한해운에 롱비치터미널 지분인수 우선협상대상자 지위를 내줬다.


법원은 이후 매각주관사인 미국 제프리사를 통해 현대상선 등 몇 곳으로부터 인수 가격제안서를 받았다. 이를 통해 시장에서의 적정한 가격을 파악하고 대한해운과 협상을 시작한다는 방침이다.

다만 업계에서는 대한해운이 자금부담으로 인해 한진해운이 보유한 롱비치터미널 지분 전량을 인수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한진해운은 법정관리에 들어가기 전 롱비치터미널 지분을 담보로 6개 해외 금융기관으로부터 약 3000억원을 대출받았다. 대주단은 이 대출금을 터미널 인수자가 떠안을 것을 요구하고 있다.


대한해운이 현대상선과 공동인수를 제안한 것도 이런 배경에서인 것으로 여겨진다. 다만 이런 계획이 성사되려면 현대상선의 동의가 필요하다.

국내에서 입찰절차가 마무리되더라도 최종 인수 여부는 우선매수청구권을 보유한 MSC의 결정에 따라 갈릴 전망이다. MSC는 12월 15일까지 국내 입찰 절차를 마무리하라고 최후 통첩한 것으로 알려졌다.

MSC와 대주단은 국내 업체와의 협상 상황을 지켜본 뒤 우선매수청구권 행사 등을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