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래 한국석유공사 사장과 석유공사 노조 간 갈등의 골이 깊어진다. 잇따른 해외투자 실패와 저유가, 사망사고 등 악재가 겹치며 경영난이 심화된 가운데 김정래 호는 노조의 신뢰를 얻지 못한 채 표류할 위기에 놓였다.

노조는 최근 조합원을 대상으로 ‘김정래 사장 퇴진 결의’ 찬반투표를 실시했다. 조합원의 92%가 투표에 참여했는데 찬성률이 97.3%였다. 전체 직원의 80%가 노조에 가입한 점을 고려하면 직원 대부분이 김 사장이 물러날 것을 요구한 셈이다.

김정래 한국석유공사 사장. /사진=머니투데이 DB
김정래 한국석유공사 사장. /사진=머니투데이 DB

방아쇠를 당긴 것은 ‘낙하산 인사’ 논란이다. 노조 측은 김정래 사장이 지난 2월과 4월 전문계약직으로 3명의 고문과 1명의 본부장을 채용한 것을 두고 ‘측근인사에 비선경영’이라고 주장한다. 경영 정상화를 위해 임직원 전체가 연봉의 10%를 자진 반납하는 상황에서 평균연봉이 1억원에 달하는 별정직을 4명이나 채용한 것을 이해하기 어렵다는 것. 채용절차도 부적절해 의구심을 키웠다. 이에 대해 사측은 ‘노조의 경영권 침해’라는 입장이다.
공사 안팎에서는 김 사장이 취임 직후 노조와의 소통을 배제한 채 조직규모 축소와 인원감축 등을 추진하며 깊어진 갈등이 이를 계기로 터졌다고 분석한다. 지난 2월부터 석유공사 사장직을 맡은 그는 저유가 기조로 수조원의 손실을 기록한 석유공사의 경영정상화에 급격한 가속페달을 밟아왔다.

업계 관계자는 “문제점이 많이 드러난 석유공사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구조조정 등의 방안이 절실한 것은 맞지만 노조와 소통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며 “경영자 스스로가 노조의 신뢰를 얻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 본 기사는 <머니S>(www.moneys.news) 제466호에 실린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