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내 한 아파트 밀집 지역. /사진=뉴시스 DB
서울 시내 한 아파트 밀집 지역. /사진=뉴시스 DB
지난해 11월 기준 주택종합 전월세전환율이 6.5%로 나타났다. 전월세전환율은 전세금을 월세로 전환할 때 적용되는 비율이다. 이 비율이 높으면 상대적으로 전세에 비해 월세 부담이 높다는 뜻이고 낮으면 반대의 뜻이다.
한국감정원은 지난해 11월 신고 기준 실거래정보를 활용해 전월세전환율을 산정한 결과 주택종합은 6.5%를 기록했다고 6일 밝혔다.

유형별로는 아파트 4.8%, 연립다세대주택 6.7%, 단독주택 8.2% 순으로 조사됐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은 6%, 지방은 7.7%로 나타났다.


주택종합 전월세전환율을 시도별로 살펴보면 세종이 5.2%로 가장 낮고, 경북이 9.4%로 가장 높았다. 울산(7.5%→7.6%)은 전달 대비 소폭 상승했고 세종(5.4%→5.2%), 경북(9.6%→9.4%), 전남(8.2%→8.0%) 등은 하락했다.

주택유형별로는 아파트(4.8%→4.8%), 연립다세대(6.8%→6.7%), 단독주택(8.3%→8.2%) 순으로 나타났다. 아파트는 전달과 동일한 전환율을 기록했고 연립다세대 및 단독주택은 0.1%p 하락했다.

이 가운데 수도권은 아파트의 경우 4.5%, 연립다세대 6.4%, 단독주택 7.5%를 기록했고 지방은 아파트 5.5%, 연립다세대 9.2%, 단독주택 9.7%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