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형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9일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를 활용한 기계산업 스마트화를 위해 자율주행 농기계, 스마트 컨스트럭션 등 3개 AI프로젝트에 2020년까지 민·관 공동으로 202억원을 투자하고 3차원 프린팅산업 육성방안을 올 상반기까지 수립하겠다”고 밝혔다.

주 장관은 이날 서울 63컨벤션센터에서 정지택 기계산업진흥회 회장 등 기계산업 관계자 3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기계산업인 신년인사회’에 참석한 자리에서 “4차 산업혁명이 빠른 속도로 산업계를 강타하고 있어 산업의 기본 플랫폼인 기계산업의 역할을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지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주형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사진=산업통상자원부
주형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사진=산업통상자원부

그는 “올해에도 미국 신정부 출범, 브렉시트 협상 등 대외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있고 각국의 보호무역주의도 확산되고 있어 산업환경이 녹록치 않을 것으로 예상한다”며 “정부는 기계산업이 어려운 대내여건을 극복하고 4차 산업혁명의 변화를 주도할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주력산업 구조조정, 신산업 전환 등 급속한 산업변화에 기계부품기업이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기계산업에 대한 진단을 바탕으로 기계부품 경쟁력 강화전략을 마련하겠다”며 “수출회복세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기계산업의 품목, 주체, 시장, 방식의 수출구조 혁신을 가속화할 계획이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주 장관은 “기계산업이 과거 70년대 중화학공업에서부터 최근의 첨단산업에 이르기까지 중추적 역할을 해왔다”며 “4차 산업혁명과 신신업 흐름을 주도해 우리 산업이 한단계 도약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해주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