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순 서울대. 박원순 서울시장이 지난달 5일 서울 영등포구 국회에서 열린 '국민권력시대, 어떻게 열 것인가? 청와대 재벌 검찰 개혁을 중심으로' 강연회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임한별 기자
박원순 서울대. 박원순 서울시장이 지난달 5일 서울 영등포구 국회에서 열린 '국민권력시대, 어떻게 열 것인가? 청와대 재벌 검찰 개혁을 중심으로' 강연회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임한별 기자

박원순 시장이 서울대 폐지를 주장했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오늘(12일) 서울 영등포구 국회에서 열린 '교육감 초청 교육 개혁 토론회'에서 "서울대학교를 사실상 폐지하겠다"고 말했다.
박 시장은 '박원순 솔루션'을 발표, "대한민국은 엄연한 학벌 사회로 그 정점에는 서울대가 존재한다. 서울대에서부터 서열화된 입시 경쟁으로는 학생은 물론 부모, 교사들도 행복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국공립대들이 교육 과정을 공유하며 학사 관리 및 학점을 교류하고 학위를 공동으로 수여하게 하겠다"며 '국공립대 통합 캠퍼스 구축'을 제시했다.


이어 "양질의 교육이 이뤄질 수 있도록 교원의 순환 강의를 제도화하고 교양 수업의 경우 학생들의 캠퍼스 교환 수강, 모바일 수강이 가능하도록 제도를 대폭 개선하겠다"고 말했다.

서울대와 지방 국공립대 간 학생 및 교원 교류를 통해 전국 국공립대를 하나의 캠퍼스처럼 묶겠다는 발상이다. 국내 대학 서열 최상위 학교로서 서울대를 없애고, 서울대와 같은 수준의 국공립대를 전국 곳곳에 세우겠다는 것이다. 국공립대에 1~13까지 숫자가 매겨진 프랑스 파리의 국립대가 모델이다.

박 시장은 "경제가 어려울수록 청년과 교육에 투자해야 한다. 매년 5000억원이면 당장이라도 58개 국공립대학교에 반값 등록금을 시행할 수 있다. '고등교육법' 개정을 통해 모든 대학에 등록금 상한제를 적용해 사립대도 반값 등록금의 효과가 배가되도록 하겠다"고 밀했다.


그는 "대학 안 가도 잘 먹고 잘 사는 시대를 열겠다. 직업 교육 제도를 북유럽식으로 혁신하고 고등학교만 졸업해도 좋은 일자리가 보장되면 된다"며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공기업 등 공공부문의 고졸자 채용 인원 확대를 주장했다.

한편 '교육감 초청 교육 개혁 토론회'에는 조희연 서울시교육감, 이재정 경기도교육감, 민병희 강원도교육감, 장만채 전라남도교육감 등이 토론자로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