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시민 조윤선, 사진은 조윤선 문체부 장관. /사진=사진공동취재단
유시민 조윤선, 사진은 조윤선 문체부 장관. /사진=사진공동취재단

유시민 작가가 조윤선 문체부 장관을 강하게 질타했다. 지난 12일 방송된 JTBC '썰전'에서는 전원책 변호사와 유시민 작가가 문화예술인 블랙리스트 논란을 놓고 이야기를 나눴다. 이날 유시민 작가는 "조윤선 장관의 청문회 장면을 보고 국민들이 장관이라는 직책에 대해 오해할 것 같다. 놀고먹는 자리라고"라며 지적했다.
유시민 작가는 청와대의 업무 구조를 지적하면서 조윤선 장관이 블랙리스트에 대해 '모를 수 없는 상황'이었음을 강조했다.

조윤선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7차 청문회 당시 “블랙리스트 작성은 관여하지 않았다. 작성 책임이 없다”며 작성에 대한 책임을 회피했다. 그러나 국조특위의 질타로 조 장관은 “특검 검사가 하는 것 같은 역할은 하지 못했다. 그 점에 대해서는 제가 부족했다”고 말한 바 있다.


이와 관련해 유시민 작가는 “청와대는 실제적 의사결정을 하거나 집행할 때 자신들이 신뢰하는 사람들과 일한다. 일종의 동지적 관계가 있어서 서로 감춰주는데 일반 행정부처는 다르다"면서 "장관은 가서 1~2년 하는 거고 사람을 데려오지 못한다. 감추려고 해도 안 감춰진다. 특검에서 문체부 공무원들을 불러서 이야기를 이미 들었을 것 같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장관 부임 후에 실국장들에게 (블랙)리스트에 대해 보고 받았다는 거 아니냐. 순 거짓말이다”고 지적했다. 또한 “국정감사에서 (블랙리스트 때문에) 난리가 났었는데, 끝나고도 대책회의도 안했다는 건 놀고 먹었다는 거다. 말이 되는 얘기를 해야지”라며 목소리를 높였다.

전원책 변호사 또한 조윤선 문체부 장관에 대해 "블랙리스트 작성 당시로 알려질 때 조윤선 장관이 청와대 정무수석을 했다"며 "여러 사람들의 증언을 보면 ('문화계 블랙리스트'가) 교육문화수석실에서 기초적인 사람들 취합이 되고 국정원에서 사상 검증에 협조가 된 것으로 보여진다"고 말했다.


이어 전 변호사는 "정무수석실에서 편집이 됐다가 다시 교문수석실로 가서 문체부 예술정책과에 리스트가 갔다가 한국문화 예술위원회와 예술경영지원센터로 내려간 것으로 보인다"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