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유진그룹에 따르면 설 명절 경비는 세뱃돈, 부모님 용돈, 선물 구입비, 차례비용, 교통비 등을 총 더한 금액으로 지난해 설 예상경비(70만5000원)보다 3만5000원 늘었다.
설 세뱃돈으로는 전체 응답자 중 23.4%가 20만원, 30만원 이상이 19.9%, 10만원이 15.47% 순으로 나타나 설 경비 중에 세뱃돈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
우정사업본부 물류센터 직원들이 지난 19일 서울 광진구 동서울우편물류센터에서 설 명절 선물세트 등 소포와 택배를 분류하고 있다. /사진=뉴스1 |
설 선물과 관련해선 직장인 두명 중 한명은 설 명절 선물로 상품권(51.8%)을 받고 싶어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어 육류 선물세트가 25.6%, 과일 선물세트가 6.3%를 차지했다. 반면에 생활용품(27.3%)과 음료세트(16.3%), 가공식품(10.5%)은 선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받는 사람의 입장에서 불필요한 선물이 될 수 있는 선물세트보다는 필요한 상품을 직접 구입할 수 있는 상품권을 선호하는 명절 선물 풍속도의 변화를 짐작케 한다.
직장인들의 가장 큰 명절 스트레스는 금전적인 지출로 인한 경제적인 부담(37.2%)으로 나타났다. 뒤이어 부모님과 친척들에게 들어야 하는 잔소리(13.3%), 명절음식 준비 등 가사노동(10.1%), 부부싸움과 배우자 눈치(6.5%) 등이었다.
대체휴일을 포함해 4일인 이번 설 연휴에 직장인 중 31.6%가 연휴 첫날인 27일 오전에, 18.1%가 26일 오후에 고향으로 출발한다고 답했다.
귀성일로는 설날 당일인 28일 25.7%, 29일 오후가 19%, 30일 오전이 12.5% 순이었다. 반면 고향을 방문하지 않는 직장인도 18.1%로 집계됐다.
명절에 고향을 방문하지 않는다면 하고 싶은 일로는 해외여행이 33.6%로 가장 많았고, 집에서 휴식이 28.2% 영화 및 공연 관람 등 문화활동이 17%, 국내여행이 10.2%로 나타났다.
유진그룹 관계자는 “직장인들의 명절에 대한 인식이 점차적으로 변화하고 있다”며 ”명절을 맞아 직원들이 스트레스 없이 즐겁게 연휴를 보낼 수 있도록 다양한 방안들을 마련해 나갈 계획이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