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국민의당 당 대표실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 참석한 박지원 대표가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30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국민의당 당 대표실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 참석한 박지원 대표가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이 김무성 바른정당 고문을 만난 데 이어 박지원 국민의당 대표와 회동했지만 결과물은 신통치 않은 것으로 보인다.
30일 정계에 따르면 반 전 총장은 전날(29일) 김 고문과 만난 데 이어 이날 박 대표와 만나는 등 본격적으로 ‘빅텐트’ 행보를 걸었다. 반 전 총장은 김 고문과 박 대표를 각각 만나 개헌과 패권주의 청산 등에 대한 본인의 구상을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반 전 총장이 새누리당에서 나와 바른정당에 깃발을 꽂은 김 고문과 정계 제3지대 역할을 자처하고 있는 국민의당의 박 대표를 연속으로 만나면서 개헌을 고리로 한 '제3지대' 정계개편을 이끌기 위한 행보라는 분석이다.


그러나 박 대표가 반 총장과 거리를 두며 반 총장의 선택지가 점차 줄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박 대표는 반 전 총장과 만난 후 기자간담회를 열고 “반 전 총장이 차기 정부에는 개혁정부가 들어서야 한다는 데 동의했다”면서도 “귀국 후 발언과 언행들에 대해 납득할 수 없어 국민의당 입당을 원한다고 하더라도 지금은 받을 수 없다. 함께하기 힘들다는 것을 분명히 말했고 반 전 총장도 이해를 나타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