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역사교과서 현장검토본과 편찬기준(안)/사진=머니투데이 |
국정 역사교과서 최종본이 31일 오전 11시 공개된다. 교육부는 오는 3월부터 이 최종본을 연구학교에 보급할 계획이지만 정치권과 교육계의 반발이 거센 데다 '국정교과서 금지법'이 국회를 통과할 경우 폐기될 가능성이 높다.
교육부는 이날 중학교 역사 1·2와 고교 한국사 국정교과서 최종본을 공개하는 브리핑을 여는 동시에 인터넷에 전자책 형태로도 제공할 예정이다. 국·검정 혼용 방침에 따라 2018년부터 사용할 검정교과서의 집필기준도 함께 발표한다.
그동안 공개하지 않았던 편찬심의위원 16명의 명단도 공개한다. 편찬심의위원은 국정 역사교과서의 편찬기준(집필기준)을 만들고 원고를 수정한다.
교육부는 지난해 11월28일 국정 역사교과서 현장검토본을 웹사이트에 공개하고 약 한달 동안 각계 의견을 수렴했다. 고교 한국사 2467건 등 총 3807건의 의견을 접수했다.
하지만 교육계 안팎에서는 오·탈자나 명백한 오류를 수정하는 정도에 그칠 것이라는 관측이다. 교육부는 지난해 12월27일 의견수렴 결과를 발표하면서 명백한 사실 오류 21건만 즉시 수정했다고 밝힌 바 있다.
검정교과서 집필기준도 관심사이다. 국정교과서 편찬기준에 맞춰 집필기준을 제시하는 데 대해 교육·시민단체는 물론 기존 검정교과서 집필진들이 반발하고 있다. 고교 검정교과서 집필진 50명과 중학교 검정교과서 집필진 54명은 검정교과서 집필 거부를 선언한 상태다.
한편 최종본이 공개되더라도 13개 시·도 교육감은 정부의 국정교과서 강행에 반발하며 연구학교 지정에 협조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연구학교 지정 권한은 교육감에게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