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출처=신한은행 |
한 시민단체가 위성호 신한카드 사장을 위증교사죄로 검찰에 고발한 가운데 금융권 일각에서는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시민단체가 소비자권익을 위해 활동하는 것은 존중하지만 최고경영자(CEO) 인사까지 직·간접적으로 관여하는 것은 금융회사 발전을 저해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에서다.
2일 금융권과 시민단체에 따르면 금융정의연대는 지난 1일 위성호 신한카드 사장을 서울중앙지검에 고발했다. 금융정의연대는 위 사장이 신한금융지주 부사장으로 재직할 당시인 2010년 신한사태 진상을 은폐하려고 검찰 조사와 법원에서 위증과 위증교사를 했다고 주장했다. 나아가 위 사장의 차기 신한은행장 선임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하지만 금융권의 시각은 다르다. 기본적으로 신한사태가 고객에게 끼친 영향은 거의 없다는 게 금융권의 해석이다. 신한금융은 브랜드 이미지가 다소 훼손됐지만 한동우 신한금융 회장이 취임하면서 이를 잘 봉합했고 다시 리딩뱅크로 도약하는 등 1등 은행으로 발전하는 계기를 만들었다는 분석이다.
신한카드 역시 위 사장이 새로 부임한 이후 국내 1위 카드사로서의 위상을 지켜나갔다. 신한카드의 지난해 3분기 영업실적은 6930억원으로 위 사장이 취임한 시점인 2013년 동기(6902억원) 대비 0.4% 증가했다.
국내 금융회사의 취약점으로 꼽히는 해외시장에서도 그는 눈부신 활약을 펼쳤다. 신한카드는 지난 2015년 7월 카자흐스탄에서 자사 최초의 해외법인 '신한파이낸스'를 설립하는 데 성공했다. 올해는 자동차와 가전 할부금융 사업에 더욱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인도네시아에서도 자동차 판매 기업인 '인도모빌'과 '신한인도파이낸스'를 설립했고 오토바이·자동차 등 할부 및 리스사업을 펼치고 있으며 지난해 3월엔 미얀마에 현지법인까지 설립하는 공을 세웠다.
그는 이 같은 업적을 인정받아 차기 신한은행장으로 거론되고 있다. 그런데 시민단체가 7년 전의 사건으로 뒤늦게 위 사장을 검찰에 고발하면서 '보이지 않는 손'이 작용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끊이지 않는다.
금융권 한 고위 관계자는 "시민단체의 고발로 검찰수사에서 무혐의 처분을 받았는데 갑작스럽게 수년전 사건을 다시 꺼내든 건 이해하기 힘들다"며 "만약 혐의가 있다면 수년전에 결론이 나왔어야 하는 것 아니냐"고 의문을 제기했다.
실제 신한사태 당시 라응찬 전 신한금융 회장과 이백순 전 신한은행장은 신상훈 전 신한금융 사장을 횡령·배임 혐의로 고소했고 소를 취하하는 조건으로 신 전 사장은 자진 사퇴했다. 이 과정에서 일부 시민단체가 라 전 회장을 검찰에 고발했지만 증거 불충분으로 무혐의 처리됐다.
신한금융에 정통한 한 관계자는 "고객 권익에 앞장선 금융권 시민단체의 역할은 충분히 존중돼야 한다"면서도 "다만 민간 금융회사의 CEO 인선까지 관여해 특정인을 비판하는 것은 문제의 소지가 있는 것 같다"고 안타까움을 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