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부터 초등학교 1, 2학년 대상으로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되면서 인문, 사회, 과학 기술에 대한 기초소양을 갖춘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교과 과정이 바뀐다. 특히 초등학교의 경우 한글과 독서교육이 강화됐고 이는 중학교 과정으로 이어지면서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를 함께 하는 통합활동 비중이 높아졌다.

새 교육과정에 대비하기 위해서 독서가 더욱 중요해졌다. 독서는 책을 읽으면서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능력을 동시에 키울 수 있으며 생각의 폭과 배경지식을 쌓는 데 도움을 준다. 본격적인 새 학기 시작을 앞두고 자녀와 함께 책 읽기를 통해 국어 실력까지 향상시켜 보자.
독서/사진=이미지투데이
독서/사진=이미지투데이
장원교육연구소 박은경 과장은 "유아 시기부터 책 읽기 좋은 환경을 만들며 매일 규칙적으로 독서를 하면 독서를 일상의 일부로 받아들이게 된다"며 "초등 고학년이 되면 단순히 책을 읽고 끝나는 것이 아니라 실질적인 국어 실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 독서 방법을 연습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 유아 - 눈과 귀를 사로잡는 책 읽기
이 시기 아이들은 시각과 청각에 반응하기 때문에 역할에 맞는 표현을 발휘해 재미있게 소리 내어 읽어준다. 기본적으로 아이에게 책을 읽어줄 땐 아이가 책을 볼 수 있게 들고, 자연스러운 톤으로 천천히 정확하게 읽어주면 된다. 그리고 대화하는 장면이나 극적인 장면에서 표정과 목소리 톤을 조금 바꾸거나 읽기 속도와 목소리 크기의 완급을 조절해 주면 아이는 책 속으로 깊이 빨려 들게 된다. 만약 아이가 글을 읽을 수 있다면 의성어, 의태어와 같은 흉내 내는 말이나 주요 인물의 대화글을 직접 읽어보게 하면 아이가 책 읽어주기에 더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

◆ 초등 저학년 - 이어 읽기로 호기심 유발

한글을 읽을 수 있는 시기가 되면 ‘이어 읽기’로 아이의 호기심을 자극한다. ‘이어 읽기’는 한 번에 책을 다 읽어주는 대신, 하루 이틀에 나누어 읽어주는 방법이다. 이어질 내용에 대한 궁금증을 유발하여 상상력을 자극하고, 부모가 읽어주기 전에 아이가 먼저 책을 찾게 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중요한 대목에서 잠시 멈추고, 그 다음에 이어질 내용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는 방법도 있다.

가끔은 부모가 먼저 한 쪽을 읽고, 아이가 나머지 한 쪽을 읽는 방법을 섞어보는 것도 좋다. 저학년의 경우 부모와 함께 크게 소리 내어 읽게 하면, 읽기에 자신감이 생기고 책에 대한 흥미도 북돋워 준다.

◆ 초등 고학년 - 어휘, 독해 연습 병행


초등 고학년의 독서활동은 길게 보면 중학교 국어 실력과도 연결된다. 이 시기에 단순히 책만 읽는 것보다 국어 실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 어휘, 독해 연습을 동시에 하는 것이 중요하다. 국어 어휘도 영어처럼 하나의 단어에 다양한 뜻을 지니고 있어 다양한 독서활동을 통해 어휘의 쓰임을 익히고 활용하는 연습을 해야 한다. 또한, 무작정 읽기 보다 글의 종류를 이해하고 주제를 간략히 요약하는 연습을 하면서 독해 실력을 기르고 한 분야의 책보다는 다양한 분야의 책을 읽으면서 배경 지식을 자연스럽게 쌓는 것이 좋다. <도움말=장원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