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삼성그룹이 삼성바이오로직스 상장 특혜 의혹을 전면 부인했다.
삼성은 10일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상장과정에서 금융당국으로부터 도움을 받았다는 것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삼성은 이날 해명자료를 통해 "코스피 상장 규정 변경 전에도 (적자인 상태에서) 나스닥과 코스닥 상장은 가능했고 코스피 상장으로 인한 추가 혜택은 없다"고 일축했다.


이에 앞서 박근혜 대통령과 삼성그룹의 뇌물 의혹을 수사 중인 박영수 특별검사팀은 지난 8일 정은보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을 참고인 신분으로 소환조사했다. 특검팀은 정 부위원장을 상대로 금융위가 삼성바이오로직스 상장과 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에 개입했는지 등을 추궁한 것으로 알려졌다. 추가로 확보한 안종범 전 청와대 수석의 수첩에서 삼성바이오로직스 관련 내용을 확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검은 제일모직과 삼성물산 합병 이후 이재용 부회장의 경영권 승계를 위한 지배구조 개편 마무리 작업 과정으로 삼성바이오로직스를 상장시킨 정황을 잡고 수사 중이다.

그러나 삼성 측은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주로 해외 제약사로부터 바이오의약품을 위탁받아 바이오의약품을 생산하는 전문회사로서 상장을 하게 된다면 바이오산업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미국 나스닥 상장을 우선 고려한다는 계획을 갖고 있었다”며 “이에 따라 2011년 4월 설립된 이후 매년 '바이오 인터내셔널(세계 최대 바이오 전시·콘퍼런스)'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 등에 참가해 글로벌 고객 및 잠재 투자자를 대상으로 사업현황 및 중장기 비전을 설명하며 글로벌 투자자들로부터 관심을 받았다”고 주장했다. 


이어 “증권거래소가 2015년 11월 5일 상장규정 변경 발표 후, 코스피, 코스닥 상장 유치를 위해 2015년 11월부터 지난해 1월까지 당사를 수차례 방문했지만 당사는 ‘구체적인 상장계획은 없으며 상장추진 시 나스닥과 비교하여 검토하겠다’고 일관적으로 답한 바 있다”면서 “이후 상장을 검토하는 과정에서도 거래소의 지속적인 권유와 여론, 국민들의 기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지난해 4월28일 이사회에서 최종 코스피 상장 추진을 결정했다”고 서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