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미사일 발사. 사진은 지난해 8월 북한이 함경남도 신포 인근 해상에서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을 시험발사한 모습. /자료사진=뉴스1
북한 미사일 발사. 사진은 지난해 8월 북한이 함경남도 신포 인근 해상에서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을 시험발사한 모습. /자료사진=뉴스1

북한 미사일 발사가 성공적으로 시험발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오늘(13일) "우리 식의 새로운 전략무기체계인 지상대지 중장거리 전략탄도탄 '북극성-2'형 시험발사가 주체 106(2017)년 2월12일 성공적으로 진행됐다"고 밝혔다.
중앙통신에 따르면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이번 '북극성-2'형 중거리 탄도미사일 시험발사를 현지에서 지도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앙통신은 "최고령도자 (김정은)동지께서는 지난해 8월 전략잠수함탄도탄(SLBM) 수중시험발사에서 이룩한 성과를 토대하여 이 무기체계를 사거리를 연장한 지상대지탄도탄을 개발할 데 대한 전투적 과업을 제시했다"고 밝혔다.


이어 "국방과학자, 기술자들은 우리 당의 권위, 우리 조국의 존엄과 안녕이 실려있는 새로운 전략무기체계를 불과 6개월이라는 짧은 기간에 완성하는 놀라운 기적을 창조했다"고 설명했다.

김정은은 "이제는 보여줄 때가 왔다, 한번 해보자"며 "신심을 안고 발사진지로 진출하라"고 국방과학자와 기술자들의 등을 떠밀었다고 통신은 전했다.

통신에 따르면 이번 시험발사는 "새로 개발한 대출력고체발동기(엔진)를 이용하는 중장거리 전략탄도탄과 리대식 자행발사대를 비롯한 무기체계 전반에 대한 기술적 지표들을 확증하는데 목적"을 뒀다.


이번 시험발사를 통해 "지상에서의 냉발사체계의 믿음성과 안정성, 대출력고체발동기의 시동특성을 확증했으며 능동구간비행시 탄도탄의 유도 및 조종특성, 대출력고체발동기들의 작업특성, 계단분리특성들을 재확인했다"고 통신은 주장했다.

통신은 "보다 능력이 향상된 핵탄두 장착이 가능한 조종전투부의 분리 후 중간구간과 재돌입 구간에서의 자세조종 및 유도, 요격회피기동특성 등을 검증하였다"며 "새로 설계제작한 자행발사대차의 기동 및 운영상태를 극악한 지상환경 속에서 시험완성하고 실지 탄도탄발사를 통하여 그 기술적 지표들을 완전히 확정했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번 시험발사는 주변 국가들의 안전을 고려하여 사거리 대신 고도를 높이는 고각발사 방식으로 진행됐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