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닥터아파트 조사 결과 소비자 10명 중 3명은 내 집 마련을 이유로 올 상반기 청약에 나설 뜻을 밝힌 것으로 조사됐다. /자료=닥터아파트 |
15일 부동산 리서치회사 닥터아파트에 따르면 만 20세 이상 회원 749명을 대상으로 지난 6~12일까지 올 상반기 분양시장 소비자 선호도 설문조사 실시 결과 34.6%가 상반기 청약에 나설 이유에 대해 ‘내 집 마련’을 꼽았다.
이는 지난해 하반기(27.2%)보다 7.4% 포인트나 늘어난 수치다. 이 기간에는 전매로 되팔려는 투자용이 37.9%로 가장 많았다.
당첨 후 전매제한 해제 전후로 되팔려는 투자용은 30.8%를 차지했다. 새 아파트로 갈아타려는 교체수요는 29.8%로 뒤를 이었다. 자녀 등 타인에게 양도는 4.8%로 나타났다.
올 상반기에는 청약하기에 어떤 시기인가 라는 질문에는 ‘나쁜 때’라고 응답한 사람(37.7%)이 ‘좋은 때’라고 응답한 사람(25.5%)보다 더 많았다. 나쁜 때라고 답한 응답자는 6개월 전보다 19.4% 포인트 늘었고 좋은 때라고 답한 응답자는 19.4% 포인트 줄었다.
11·3 부동산대책 이후 달라진 청약규칙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는가 라는 질문에는 ‘정확히 알고 있다’는 응답자가 29.7%에 불과했던 반면 ‘대충 알고 있다’가 60.6%에 달했다. ‘모른다’라고 응답한 수치도 9.5%를 차지했다.
이 같은 흐름으로 볼 때 3월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올 상반기 분양시장은 내 집 마련 실수요자 중심이 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보다 청약경쟁률이 크게 낮아지고 11·3 대책으로 달라진 청약규칙을 모르는 청약자가 많아 부적격 당첨자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올 상반기에 가장 분양받고 싶은 아파트브랜드로는 현대건설 힐스테이트가 24.4%로 삼성물산 래미안(21.5%)을 제치고 1위를 차지했다. 3위는 GS건설 자이(15.6%), 4위는 롯데건설 롯데캐슬(9.3%), 5위는 대림산업 e편한세상(7.6%)이 차지했다.
또 정비사업 조합원일 경우 선호하는 브랜드로는 자이(29.7%)가 롯데캐슬(23.6%)을 제치고 1위를 차지했다. 3위는 래미안(13.3%), 4위는 힐스테이트(10.6%)가 차지했다. 정비사업 시공사로 선호하는 이유(복수응답)는 대기업 건설사(51%), 높은 투자가치(46.8%), 브랜드 이미지(44.1%)를 가장 많이 꼽았다.
분양받을 때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는 입지가 55.8%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이어 투자가치(20.2%), 분양가(15.4%), 시공사 브랜드(5.3%) 순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