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권형 개헌. 왼쪽부터 김무성 바른정당 의원, 김종인 더불어민주당 의원, 정의화 전 국회의장. /사진=뉴스1
분권형 개헌. 왼쪽부터 김무성 바른정당 의원, 김종인 더불어민주당 의원, 정의화 전 국회의장. /사진=뉴스1

분권형 개헌에 관심이 모인다. 김무성 바른정당 의원, 김종인 더불어민주당 의원, 정의화 전 국회의장은 어제(15일) 회동을 갖고 분권형 개헌에 힘을 모으기로 합의했다.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의 대선 불출마 선언으로 친박, 친문을 제외한 정치 세력이 주도하는 이른바 '제3지대 빅텐트' 불씨가 살아날지 주목된다.

김 의원은 이날 서울 영등포구 켄싱턴호텔에서 조찬 회동 직후 "우리나라 미래를 생각하면 분권형 개헌이 중요하다는 데 뜻을 같이 했다"고 말했다.


그는 즉각적 연대 여부에 대한 기자들의 질문에 대해서는 "그 얘기는 오늘 안 나왔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당 소속이 다른데 개헌을 고리로 한 대선 출마 가능성이 있는가'라는 질문에 대해서는 "내가 말씀드린 그대로 이해해 달라"고 말했다.

그는 '김 전 의원에게 (입당을) 제안했는가'라는 질문에 대해서는 "그런 것을 다 말씀드리기 어렵고 다음에 구체적으로 하자"고 밝혔다.


김종인 전 위원장은 "전반적인 정국에 대해 나라가 직면하고 있는 정치 상황에 대한 여러가지 우려와 앞으로 가야할 방향에 대해 이야기했다"고 말했다.

'개헌을 고리로 한 빅텐트가 유효한가'라는 질문에 대해서는 "특별히 개헌을 고리로 한다기 보다는 한국 사회가 앞으로 가려면 정치 쇄신, 경제 쇄신을 해야 하는 데 그것을 어떻게 할 것이냐에 대해 이야기했다"며 즉답을 피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