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뉴시스DB
사진=뉴시스DB

금융감독원이 금융시장 안정을 위한 전방위 노력에 나선다.
금감원은 16일 국회 정무위원회 업무보고를 통해 안정적 금융시스템 확충과 함께 가계부채 밀착감시, 회계투명성 제고 등에 나서 건전한 자본시장 구축을 위해 힘쓰겠다고 밝혔다.

먼저 금감원은 중요 금융상황 발생시를 대비해 비상대응체계를 운영한다. 미국 금리인상, 북한 핵위협 등 발생시 리스크 확산 방지를 위해 24시간 비상대응체계 및 컨틴전시 플랜을 가동할 예정이며 거시경제금융회의 등을 통해 기재부·금융위원회 등 유관기관과 공조체제를 유지하고 위기 단계별 시장안정화 조치를 적기에 시행한다.


가계부채 연착륙 유도에도 나설 계획이다. 가계부채에 대한 차주 단위별 밀착 모니터링을 위해 은행 가계대출 미시데이타베이스(DB) 전산화를 조기 완료하고 제2금융권까지 DB구축을 확대할 예정이다. 또 가계부채 안정성 진단을 위한 스트레스테스트를 실시하고 필요시 관계기관 협의채널 가동을 통해 적시 대응키로 했다.

취약업종·기업 밀착관리도 시행한다. 조선사 등 구조조정 대상기업의 자구계획 이행 여부, 영업활동과 유동성 현황을 밀착관리하고, 현안 발생시 관계기관 협업을 통해 신속 대응할 방침이다. 특히 5대 경기민감업종(조선·해운·건설·철강·유화)의 산업위험과 구조조정 경과 등에 대한 정밀 분석을 통해 원활한 구조조정을 지원할 예정이다.

건전한 자본시장 구축을 위한 회계부정행위 감독 강화 및 사전예방적 회계감독시스템 강화에도 주력한다. 현재 38명인 회계감리인력을 점진적으로 78명까지 확충하고 회계기획감리부서를 신설해 약 25년인 상장법인 감리주기를 약 10년 정도로 대폭 단축하기로 했다. 분식회계 발생 시 사회적 파장이 큰 기업 등의 회계의혹을 상시 모니터링해 회계부정행위 적발시 엄정 조치에 취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금융·IT 혁신에 대비한 미래형 감독체계 정립을 위해 금감원은 현행 오프라인 중심의 감독체계를 정비하고 핀테크 변혁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신종 리스크요인이 현재화되지 않도록 상시감시를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올해 가계부채 등 잠재 위험요인을 빈틈없이 밀착 감시·관리함으로써 우리 금융을 튼튼히 지켜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