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지역 특성화고등학교의 취업률이 전국 평균보다 10% 이상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광주시교육청에 따르면 현재 광주지역에서 직업교육을 전담하는 학교는 마이스터고 1곳, 특성화고 12곳 등 총 13곳이다.
계열별로 농업계 1곳, 공업계 6곳, 상업계 4곳, 가사·실업계 2곳이며, 공립 6곳, 사립 7곳이다. 2015년 기준 학생 수는 총 1만2399명이다.
취업률은 2012년 35.2%, 2013년 35.8%, 2014년 35.8%, 2015년 35.2%로 평균 35%대에 머물고 있다.
2015년 전국 특성화고 평균 취업률은 46.6%로 광주가 11.4% 낮다. 취업률 대비 대학 진학률도 평균 33.5%에서 39.1%를 기록하고 있어 직업교육의 취지를 살리지 못하고 있다.
졸업생 10명 중 3~4명이 취업을 하지 않고 대학에 진학하고 있는 셈이다.
교육당국은 고졸 기능인력이 산업계 수요에 비해 공급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지만 학벌 중심의 사회구조 등으로 인한 과잉 학력으로 노동시장 진출이 지연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사회 구조적인 문제와 함께 특성화고교가 사회 변화에 따른 전문인력 양성에 탄력적으로 대응하지 못하고 실습장비 또한 노후돼 있는 점도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광주시교육청 관계자는 "직업교육 시스템을 꾸준하게 개선해 취업률을 올릴 계획이다"고 말했다.
광주특성화고 취업율, 전국 평균보다 11.4% 낮아
광주=홍기철 기자
1,187
공유하기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