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지엠 트랙스. /사진=임한별 기자 |
국내 소형SUV시장을 주도하는 모델은 쌍용차의 티볼리와 한국지엠의 트랙스, 르노삼성의 QM3였다. 2013년 트랙스의 출시 이후 QM3, 티볼리가 차례로 등장하며 돌풍을 이어갔고 지난해에는 기아차가 최초로 하이브리드 소형SUV 니로를 내놓으며 판을 키웠다.
소형SUV 판매량을 주도하는 4개 차종은 지난해 국내에서 10만4936대가 판매됐다. 출시된 모델의 성공으로 유사 차급의 모델이 출시되며 시장 자체를 키워나가는 것. 처음 이 시장이 형성된 2013년(1만1998대) 이후 불과 3년만에 775%가량 성장했다.
◆ 소형SUV 인기 이유
사실 소형SUV란 용어는 자동차 제조사들이 만들어낸 마케팅 수사다. 일반 세단과 전고차가 크지 않아 험로 주행 등에 적합하지 않다. 때문에 일각에서는 도심형유틸리티차량(CUV)이라 부르기도 한다.
소형SUV가 인기를 끈 이유는 이전에 찾아보기 힘들었던 톡톡 튀는 디자인과 크기 대비 높은 공간활용성이다. 특히 사회초년생과 여성소비자, 세컨카 수요로 큰 인기를 끌며 급성장했다는 게 업계의 분석이다.
![]() |
르노삼성 QM3. /사진=르노삼성자동차 제공 |
소형 SUV 중 가장 두드러진 성과를 낸 것은 쌍용차의 티볼리다. 티볼리와 티볼리에어는 지난해 5만6935대 팔리며 해당 시장에서 2년 연속 1위를 차지했다. 이 차급 전체 판매량의 절반에 달한다.
티볼리는 적자일변도였던 쌍용차를 지난해 흑자로 돌려놓은 기념비적인 차다. 특히 주력 수출시장이었던 러시아시장의 침체에도 불구하고 내수시장을 바탕으로 흑자전환에 다다를 수 있었던 것은 전적으로 티볼리의 힘이라는 게 업계의 분석이다.
쌍용차는 여성 판매 비율이 높은 차종으로 통한다. 최초 출시 당시 30% 수준이었던 여성고객 비중은 지난해 40%를 넘어섰다. 올해도 가솔린·디젤 등 모델별로 차이는 있지만 전체 판매량의 50%에 육박할 정도로 여성운전자가 점점 늘고 있다.
업계는 티볼리의 인기 요인으로 가성비를 높이고 고객의 취향에 대응하기 위해 노력한 점을 꼽는다. 경쟁모델 중 가장 저렴한 가격을 책정했고 선택할 수 있는 옵션을 다양화했다. 가솔린과 디젤 모델을 모두 출시함은 물론 4륜구동도 선택할 수 있도록 했다. 경쟁모델과 차별화된 부분이다. 티볼리의 기존 플랫폼을 활용해 공간을 넓힌 티볼리에어는 유모차 공간이 필요한 젊은 부모들의 니즈를 저격한 사례로 평가받는다.
티볼리는 적자일변도였던 쌍용차를 지난해 흑자로 돌려놓은 기념비적인 차다. 특히 주력 수출시장이었던 러시아시장의 침체에도 불구하고 내수시장을 바탕으로 흑자전환에 다다를 수 있었던 것은 전적으로 티볼리의 힘이라는 게 업계의 분석이다.
쌍용차는 여성 판매 비율이 높은 차종으로 통한다. 최초 출시 당시 30% 수준이었던 여성고객 비중은 지난해 40%를 넘어섰다. 올해도 가솔린·디젤 등 모델별로 차이는 있지만 전체 판매량의 50%에 육박할 정도로 여성운전자가 점점 늘고 있다.
업계는 티볼리의 인기 요인으로 가성비를 높이고 고객의 취향에 대응하기 위해 노력한 점을 꼽는다. 경쟁모델 중 가장 저렴한 가격을 책정했고 선택할 수 있는 옵션을 다양화했다. 가솔린과 디젤 모델을 모두 출시함은 물론 4륜구동도 선택할 수 있도록 했다. 경쟁모델과 차별화된 부분이다. 티볼리의 기존 플랫폼을 활용해 공간을 넓힌 티볼리에어는 유모차 공간이 필요한 젊은 부모들의 니즈를 저격한 사례로 평가받는다.
![]() |
티볼리 에어. /사진=쌍용차 |
◆ 치열해지는 소형 SUV 시장
올해는 소형SUV시장에 현대차가 본격 합류한다. 이 시장이 더욱 확대될 것이란 전망에서다. 기아차는 앞서 지난해 하이브리드 소형SUV 니로를 출시했지만 현대차는 투싼보다 작은 SUV 라인업을 출시하지 않았다.
현대차는 프로젝트명 OS라 불리는 차량의 생산라인을 울산 1공장에 구축 중이다. 5월쯤 국내에 출시한다는 계획이며 이름은 ‘코나’(KONA)로 지었다. 코나는 우선 국내에서만 출시될 것으로 전해진다.
소형SUV 수입차도 주목받는다. 최근 마이너체인지 모델을 출시한 푸조 2008은 엔트리트림 기준 3000만원 미만의 가격에 구입할 수 있는 모델로 시선을 모았다. 2014년 10월 국내 출시 이후 누적 6000대가 넘게 판매됐다. 푸조는 최근 2008의 마이너체인지 모델을 선보이며 기대를 걸고 있다. 트림별 가격을 낮추고 액티브 시티브레이크 등 최첨단 품목이 추가됐다. 차후 GT라인도 출시해 고성능 수요까지 대응할 방침이다.
올해는 소형SUV시장에 현대차가 본격 합류한다. 이 시장이 더욱 확대될 것이란 전망에서다. 기아차는 앞서 지난해 하이브리드 소형SUV 니로를 출시했지만 현대차는 투싼보다 작은 SUV 라인업을 출시하지 않았다.
현대차는 프로젝트명 OS라 불리는 차량의 생산라인을 울산 1공장에 구축 중이다. 5월쯤 국내에 출시한다는 계획이며 이름은 ‘코나’(KONA)로 지었다. 코나는 우선 국내에서만 출시될 것으로 전해진다.
소형SUV 수입차도 주목받는다. 최근 마이너체인지 모델을 출시한 푸조 2008은 엔트리트림 기준 3000만원 미만의 가격에 구입할 수 있는 모델로 시선을 모았다. 2014년 10월 국내 출시 이후 누적 6000대가 넘게 판매됐다. 푸조는 최근 2008의 마이너체인지 모델을 선보이며 기대를 걸고 있다. 트림별 가격을 낮추고 액티브 시티브레이크 등 최첨단 품목이 추가됐다. 차후 GT라인도 출시해 고성능 수요까지 대응할 방침이다.
![]() |
푸조 2008. /사진=한불모터스 |
소형SUV는 아니지만 어렵지만 배출가스 문제로 판매가 중단된 닛산 캐시카이와 폭스바겐 티구안도 큰 인기를 누린 모델이다. 판매가 재개되면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여겨진다.
또 다른 풀체인지 베스트셀링 수입 SUV들도 기대를 모은다. 혼다는 준중형 SUV 'CR-V'의 5세대 완전변경 모델을 오는 4월쯤, 랜드로버는 풀체인지된 신형 디스커버리를 하반기 국내 출시한다.
중국산 SUV의 국내 첫 진출도 눈길을 끄는 대목이다. 차체 크기는 싼타페 수준이지만 가격은 소형SUV보다 저렴하다. 풀옵션 가격이 2099만원이다. 판매 1주일 만에 국내에 들여온 초도물량이 완판됐다.
또 다른 풀체인지 베스트셀링 수입 SUV들도 기대를 모은다. 혼다는 준중형 SUV 'CR-V'의 5세대 완전변경 모델을 오는 4월쯤, 랜드로버는 풀체인지된 신형 디스커버리를 하반기 국내 출시한다.
중국산 SUV의 국내 첫 진출도 눈길을 끄는 대목이다. 차체 크기는 싼타페 수준이지만 가격은 소형SUV보다 저렴하다. 풀옵션 가격이 2099만원이다. 판매 1주일 만에 국내에 들여온 초도물량이 완판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