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5월 임시공휴일 지정. /자료사진=뉴시스 |
5월 임시공휴일 지정을 정부가 검토하고 있다. 정부는 내수활성화 차원에서 지난해에도 실시했던 5월 초 임시공휴일 지정을 올해도 시행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지난해 5월6일(금)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 목요일인 5월5일 어린이날에 이어 주말까지 연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또 내수 진작을 위해 5월6일 당일에는 고속도로 통행료를 면제하기도 했다.
이는 그 전해인 2015년 광복절 연휴 임시공휴일 지정 당시 소비 활성화 효과를 상당히 누린 데 따른 조치였다. 실제로 기재부에 따르면
지난해 5월5~8일 연휴 동안 백화점·면세점 매출액, 문화시설 입장객, 교통량 등은 전년 같은 기간에 비해
크게 증가했다.
올해 5월 첫째주는 1일(월) 노동절을 시작으로 3일(수) 석가탄신일, 5일(금) 어린이날까지 연휴가 이어진다. 2일과 4일 가운데 하루가 임시공휴일로 지정되면, 개인 연가 활용 등 사정에 따라 최대 9일까지 쉴 수 있다.
정부는 임시공휴일 지정과 함께 객실요금을 인하하는 호텔과 콘도에 세금을 감면해 주고, 베이비붐 세대의 여가 지원을 위한 시니어 할인제도 도입을 추진하는 등 국내관광 활성화를 위한 정책 패키지도 준비하고 있다.
정부는 23일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 주재로 '내수활성화 관계장관회의'를 열어 이같은 내용들이 포함된 '내수위축 보완을 위한 소비민생 개선 대책'을 내놨다.
다만 조업일수 감소 등 영향이 있어 최종 확정은 하지 못하고 협의를 계속하고 있다. 이찬우 기획재정부 차관보는 "다양한 검토를 하고 있는데 확정되지 않았다. 지난해 실시한 결과 소비는 증가했지만 중소기업 참여나 생산일수·조업일수가 줄어드는 문제, 해외여행이 늘어나는 문제에 대해 추가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