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세환 BNK금융그룹 회장의 경영일선에 적신호가 켜졌다. 검찰은 BNK금융 임원이 계열사 부산은행을 통해 '꺾기대출'을 지시하고 자사 주가시세를 조종한 혐의 등을 파악 중이다. 성 회장은 부실기업 '엘시티'에 천문학적인 특혜대출을 지원한 혐의로 검찰수사의 표적이 됐다.
금융감독원은 BNK금융이 지난해 초 유상증자 당시 주당 발행가격이 결정되는 기간에 주가를 인위적으로 끌어올린 사실을 적발했다. 검찰은 부산은행이 일부 기업에 자금을 대출해주면서 BNK금융의 주식을 매입토록 지시해 주가를 올린 것으로 보고 있다.
![]() |
성세환 BNK금융그룹 회장. /사진제공=BNK금융그룹 |
지난해 1월6일 BNK금융 주가는 3.21%(8130원) 떨어졌다가 다음날 7일과 8일 각각 0.62%(8180원), 1.34%(8290원) 상승 마감했다. 주가 상승 덕에 BNK금융 투자자들은 자금을 끌어모았고 BNK금융은 유상증자를 통한 자금 조달액이 증가했다.
엘시티 특혜대출도 성 회장의 발목을 잡았다. 앞서 검찰은 이장호 전 BNK금융 회장을 소환해 엘시티 비리 연루의혹을 조사했다. 이 전 회장은 엘시티개발사업 시행사 대표인 이영복 회장의 청탁을 받고 특혜성 대출을 지원토록 알선한 혐의를 받고 있다. 성 회장은 당시 부산은행장으로 취임하면서 엘시티 컨소시엄에 추가대출을 지시하고 이 회장으로부터 이 전 회장과 함께 여러차례 골프 접대를 받은 의혹을 받았다.
'지방은행 큰 형님'으로 불리는 성 회장은 경남은행 인수를 통해 공격적으로 덩치를 불리면서 BNK금융을 키웠다. 지난해 연임에도 성공했다. 하지만 주가조작, 엘시티 비리 등 연이은 불법거래 의혹에 공든 탑이 한순간에 무너질 위기에 놓였다. BNK금융은 "사실무근"이라고 부인했지만 연이어 터진 불법금융 거래의혹에 여론은 싸늘하기만 하다.
☞ 본 기사는 <머니S>(www.moneys.news) 제477호에 실린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