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기차 충전소. /자료사진=머니S DB |
올해부터 공공기관의 전기차 의무구매 비율이 25%에서 40%로 상향된 가운데 산업통상자원부가 공공기관의 전기차 구매를 독려하기 위한 구매상담회를 28일 개최했다. 기관의 특성에 맞는 전기차 모델을 비교·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취지다.
이날 정부세종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이 행사에서는 중앙행정기관, 광역‧기초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지방공기업 차량구매담당, 전기차 제작사, 렌터카․리스업체 등 2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전기차 정책 설명 ▲전기차 보급 우수사례 발표 ▲전기차 모델 소개 등이 진행됐다.
중앙행정기관, 지자체, 공공기관, 지방공기업은 올해부터 신규 구매하는 자동차의 40% 이상을 전기차 혹은 수소연료전지차로 구매해야 한다. 이는 지난해 7월 수립한 전기차 발전전략에 따른 것이다.
이날 구매상담회에는 현대, 기아, 한국지엠, 르노삼성 등 4개의 국내 전기차 제조업체가 참여해 현재 출시 중이거나 출시예정인 전기차 모델을 소개했다. 구매담당자가 직접 시승을 통해 전기차의 친환경성과 성능을 체험했다.
전기차를 대량 구매하거나 처음으로 구매하는 공공기관의 차량구매담당자를 대상으로는 정부의 전기차 보급 지원정책에 대한 설명이 이뤄졌다. 지자체와 공공기관 중 가장 선도적으로 전기차 보급에 나서고 있는 제주도와 한국전력의 우수사례를 공유하는 시간도 마련됐다.
현재 국내 전기차의 50% 이상이 보급돼 있는 제주도는 2030년까지 모든 차량의 전기차 전환을 목표로 주요관광지와 공영주차장의 주차요금 전액 면제, 이브이(EV)콜센터 운영, 전기차 공동 시승·체험센터 운영 등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전체 공공기관 중 가장 많은 전기차인 697대를 보유하고 있는 한전은 올해 대규모 구매계획을 갖고 있다.
산업부는 공공기관이 밀집한 혁신도시와 전국 지사망을 갖춘 공공기관의 주요 거점에 일반 국민들도 이용이 가능한 급속충전기 설치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한편 산업부는 다음 달까지 전체 공공기관의 지난해 전기차 구매 실적을 제출받아 의무미이행 기관을 공개하는 한편, 공공기관평가에도 반영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