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공=통계청 |
31일 통계청이 발표한 ‘2월 산업 활동 동향’에 따르면 2월 소비를 의미하는 소매판매지수는 전월 대비 3.2% 증가했다. 소매판매지수는 지난해 11월 감소세 (-0.3%) 전환 후 4개월만에 증가세를 나타냈다. 화장품 등 비내구재(3.1%)와 승용차 등 내구재(3.4%), 의복 등 준내구재 판매가 모두 늘었다. 소매업태별로는 대형마트(15.9%)를 비롯해 백화점(3.4%), 편의점(2.5%), 승용차·연료소매점(3.8%) 등이 전월보다 증가했다.
건설기성은 건축(5.2%)과 토목공사(15.1%) 실적 증가에 힘입어 전월보다 7.8% 증가했다. 건설수주(경상)는 공장·창고 등 건축(-9.4%)에서 감소했지만 발전·통신, 항만·공항 등 토목(171.2%)에서 늘어 전년동월대비 22.6% 증가했다. 국내기계수주는 전년동월대비 12.1% 증가를 기록했다.
서비스 생산은 0.1% 증가했다. 출판·영상·방송통신·정보(-4.5%), 운수(-2.5%) 등이 줄었지만 도소매(1.5%), 금융·보험(1.3%) 등이 늘었다. 다만 서비스업 증가폭은 4개월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반면 산업생산은 0.4% 감소해 네 달 만에 마이너스로 전환했다. 광공업 생산은 반도체(-11.5%), 자동차(-6.1%) 등에서 크게 줄면서 전월보다 3.4%나 감소했다. 지난 2008년 12월 10.6% 감소한 이래 가장 큰 감소폭이다.
제조업 평균가동률은 전월보다 3.3%포인트(p) 떨어지면서 70.9%로 낮아졌다. 설비투자는 기계류가 8.5%, 운송장비가 9.9% 줄어들면서 전월에 비해 8.9% 감소했다. 지난해 7월(-9.9%) 이후 가장 큰 감소폭이다.
한편 현재 경기 상황을 나타내는 경기동행지수 순환변동치와 향후 경기 국면을 예고하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각각 전월 대비 0.1%포인트, 0.2%포인트씩 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