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트럼프 한국'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뉴시스 채정병 기자 |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고질적인 무역적자 실태에 대한 전면적인 조사에 나선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3월31일(현지시간) 전세계 불공정 무역관행을 뿌리뽑고 미 대규모 적자를 초래하는 국가를 겨냥한 행정명령 2건을 발표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행정명령 발표는 다음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정상회담을 앞두고 긴장감을 높이기 위한 포석으로 해석된다.
외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 집무실에서 이 같은 내용의 행정명령을 발표하면서 "이제부터 규정을 어기는 국가는 상응하는 대가에 직면하고 매우 심각한 대가를 치를 것"이라고 말했다.
첫번째 행정명령은 미국의 한달 무역적자에 책임 있는 국가 또는 기업을 색출하라는 지시다. 이에대해 윌버 로스 상무장관은 국가별·제품별 분석을 통해 90일 이내에 트럼프 대통령에게 보고할 것이라고 밝혔다.
로스 장관은 중국을 비롯해 10여개 국가가 관련돼 있다고 말하며 한국과 일본, 대만, 베트남, 태국, 인도,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캐나다, 프랑스, 독일, 아일랜드, 이탈리아, 멕시코, 스위스 등 16개국을 거론했다.
다만 로스 장관은 무역적자가 발생한다고 해서 반드시 보복 또는 개선책을 취하는 것을 의미하는 건 아니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트럼프 대통령은 두번째 행정명령으로 외국 정부가 보조금을 주거나 미 시장에 덤핑으로 내놓은 제품에 대한 무역관세를 효과적으로 대응하라고 지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