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해양/사진=뉴시스DB
대우조선해양/사진=뉴시스DB
대우조선해양 회생에 결정적인 키를 쥐고 있는 국민연금이 채무조정안 수용 여부를 다음주로 미뤘다. 국민연금이 채무조정안을 반대하면 대우조선은 단기 법정관리인 'P-플랜'에 돌입할 가능성이 높아져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는 대우조선해양의 재무 상태와 기업계속성에 의구심이 있어 구조조정 방안 수용 여부를 결정할 수 없다고 지난 6일 밝혔다.

국민연금은 투자위원회를 열고 채무재조정안을 검토했지만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대우조선의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 등이 제공한 자료가 미흡해 심도 있는 검토를 하지 못했다는 입장이다.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자율적 합의가 잘 마무리되길 기대하지만 채무 재조정이 실패하면 P-플랜이 불가피하다”며 “(P-플랜을 위한) 준비는 마무리된 상태”라고 말했다.

이동걸 산업은행 회장, 최종구 수출입은행장, 정성립 대우조선 사장은 오는 10일 국민연금 등 32개 기관투자가를 상대로 채무 재조정안 수용을 설득할 계획이다.

국민연금은 대우조선 회사채의 약 30%인 3887억원을 들고 있다. 채무 재조정안에 동의하면 회사채 50%를 출자전환하고 나머지는 만기 연장된다. 반대로 채무 재조정안에 반기를 들면  P-플랜이 불가피하다.


이날 대우조선은 ▶경영정상화까지 전 직원 임금 10% 추가 반납 ▶생산 매진을 위한 노사 교섭 잠정 중단 ▶노조의 수주활동 적극 지원 ▶기존 채권단에 제출한 노사확약서 승계(무분규 약속) 등 4가지 사항이 포함된 합의서를 발표했다.

앞서 급여 전액을 반납한 정성립 대우조선 사장과 함께 임금 10%를 삭감한 임원들은 이달부터 10%를 추가 반납하는 등 자구책을 보이기도 했다.

또 올해 흑자 전환에 실패하면 대표이사인 정 사장이 사퇴하고 임직원 전원이 연대해 책임을 지기로 했다. 노동조합과 경영진은 2015년 4조2000억원 지원을 하고도 2조9000억원을 추가 지원한 결정에 대해 사과와 고마움도 표했다.

한편 은행권은 대우조선 살리기에 동참하는 쪽으로 기울고 있다. 수출입은행이 영구채 금리를 연 3%에서 1%로 내리기로 하는 등 시중은행들의 요구가 일정 부분 수용됐기 때문이다. 대우조선 주채권은행인 산은은 7일까지 채무 재조정안에 대한 시중은행의 동의서를 받을 계획이다.

시중은행의 대우조선해양 추가 충당금 적립액 부담은 최대 9878억원에 달할 것으로 알려졌다. 상장은행의 대우조선해양 위험노출액은 1조8000억원으로 추정된다.

은행별로는 KEB하나은행이 6930억원, 국민은행 5199억원, 신한은행 2985억원, 우리은행 2289억원, 기업은행 278억원, JB금융 179억원, BNK금융 102억원 등이다.

김인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대우조선 사채권자 합의 이전까지는 단기 불확실성이 지속될 것"이라며 "합의안 부결로 P플랜에 들어가면 시중은행의 충당금 부담액이 9878억원으로 늘어날 것"이라고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