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추모. 시민들이 어제(16일) 경기 안산시 정부합동분향소 앞에서 열린 참사 3주기 추모제 '기억식'에 참석하고 있다. /사진=뉴스1
세월호 추모. 시민들이 어제(16일) 경기 안산시 정부합동분향소 앞에서 열린 참사 3주기 추모제 '기억식'에 참석하고 있다. /사진=뉴스1

4·16가족협의회는 어제(16일) 경기 안산시 정부합동분향소 앞에서 세월호 참사 3주기 추모제 '기억식'을 개최했다.
기억식에 참석한 시민들은 오후 3시 일제히 자리에서 일어나 희생자를 추모하며 묵념했다. 이어 세월호특별법 제정을 위한 유가족 활동,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과정, 세월호 인양 모습 등이 담긴 영상물이 상영됐다.

전명선 4·16가족협의회 운영위원장은 추모사에서 "오늘은 절대 잊을 수 없는 날"이라며 "세월호 희생자 304명을 잊지 않고 함께해 준 여러분에게 고맙다"고 강조했다.


전 운영위원장은 "세월호 참사 3년이 됐지만 미수습자 9명이 아직 돌아오지 않았고, 유가족들은 여전히 거리에서 (정부와) 싸우고 있다"며 "우리는 세월호 참사 이전과는 다른 회복을 이뤄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참사 피해 지역 안산에서 시작돼야 한다"며 "철저한 진상 규명으로 책임자를 처벌하고 안전에 대한 국가의 개선이 이뤄질 때 참사로부터 회복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참사의 가장 큰 아픔을 겪은 안산시는 4·16안전공원(추모시설) 조성으로 국민권리 회복의 시작점이 될 것"이라며 "안산이 안전한 대한민국의 시작점이 되기를 바란다. 끝까지 함께하겠다"고 덧붙였다.


기억식에는 시민을 비롯해 이영 교육부 차관, 남경필 경기도지사, 이재정 경기도교육감 등 1만여명(주최 측 추산)이 참석해 희생자를 추모하며 잊지 않을 것을 다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