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대 대선에 나선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왼쪽)와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 /자료사진=뉴시스
19대 대선에 나선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왼쪽)와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 /자료사진=뉴시스

대선을 21일 앞두고 주요후보들의 주택·주거 등 국토교통 관련 공약들이 관심이다. 최근 각종 여론조사에서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와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가 각각 1, 2위를 달리고 있는 가운데, 두 후보의 국토교통 공약은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문재인 후보의 경우 주거취약층 지원과 교통편의 확대 등을, 안철수 후보는 청년주거지원과 교통안전 확보 등을 내세우고 있다.

문 후보는 해마다 10조원, 5년간 50조원의 공적재원을 투입해 뉴타운·재개발 사업을 중단한 500개 구도심과 노후 주거지를 살리는 도시재생 뉴딜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도시재생 사업은 지난 정부에서도 시범사업지구를 지정해 재개발 대체 사업으로 추진했으나 진행이 더딘 상황이다. 문 후보는 달동네 등 주거취약지약을 지원할 의도로 도시재생 사업을 역점사업으로 추진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안철수 후보는 청년주거 문제를 중점사항으로 추진하고 있다. 안 후보는 청년 공공임대주택을 연간 5만가구씩 늘리고 서울시에서 시행 중인 임차보증금 융자 지원을 전국적으로 확대하는 청년 주거정책을 발표했다. 또 대학 기숙사 확충방안을 내놓는 등 청년층 주거에 초점을 맞추는 모양새다.

부동산 세제 관련 공약에서는 두 후보 모두 증세에 가까운 공약을 내놓고 있다. 문 후보는 부동산 보유세 인상을 추진하고 있고, 안 후보도 주택 관련 세제 정상화를 거론한 바 있다. 주택금융 분야에서도 두 후보 모두 총부채상환비율(DTI)과 주택담보인정비율(LTV)을 강화하겠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교통정책 분야에선 문 후보가 좀 더 명확한 노선을 세우고 있다. 문 후보는 수도권 분당선과 수인선, 서울 6호선 등 출퇴근 이용자가 많은 노선부터 지하철 9호선과 같은 급행열차를 대폭 확대할 계획을 밝혔다. 대체로 광역버스 신설과 대중교통 편의성에 집중한다는 공약이다.

안 후보는 안전문제를 강조하고 있다. 안 후보는 인천항 해상교통관제센터(VTS)를 찾아 안전 확보를 위한 전문 인력과 첨단장비 투자 등을 약속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