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상정 정의당 대선후보가 19일 오후 서울 서대문구 현대백화점 유플렉스 앞에서 청년들과 시민들에게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심상정 정의당 대선후보가 19일 오후 서울 서대문구 현대백화점 유플렉스 앞에서 청년들과 시민들에게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19대 대통령 선거에 나선 심상정 정의당 후보가 자신의 국민 월급 300만원 공약에 대해 설명했다.
심상정 후보는 오늘(19일) 세종문화회관 세종홀에서 열린 한국방송기자클럽 후보 초청 토론회에서 자신의 월급 300만원 공약에 대해 "의지만 있으면 가능하고 경제성장, 내수성장을 위해 반드시 해야 할 숙제"라고 주장했다.

심 후보는 이날 "세계 선진국 정상들이 저성장 시대에 주력해온 것이 최저임금 인상이다. 최저임금을 1만원으로 올리고 동일임금 동일노동을 한다면 충분히 달성가능한 목표"라며 월급 300만원 공약의 의미에 대해 설명했다.


또 "우리 국민들이 60년 동안 피땀 흘려 세계 10위권의 경제대국을 만들었다. 그런데 경제적 성과는 누가 가져갔고 행복은 어디로 갔나. 비정규직을 없애고 최저임금을 올려야 한다. 그리고 노동시간을 단축해 땀 흘려 일하는 사람들이 대접받는 사회를 만들겠다"며 300만원 월급이 격차해소를 위해서도 필요함을 강조했다.

심 후보는 노동조합에 대한 의견도 전했다. 그는 일부 보수정당 등에서 강성노조 때문에 사업장을 해외로 옮긴다는 주장에 대해, "노조 때문에 해외로 옮긴다는 것은 사실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그곳에 수요가 있고 시장이 있기에 가는 것"이라며 왜곡임을 지적했다.

또 "노조를 만들고 교섭하고 파업하는 것은 헌법이 보장하는 권리다. 그런데 이를 불온시하고 적대시하며 마치 헌법을 위반하는 것처럼 몰아세우는 사회풍토가 바뀌어야 한다"며, 반노조 정서를 바꿀 필요가 있음을 지적했다.


복지 공약이 증세 부담으로 이어진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국민들이 세금에 대해 문제의식을 갖는 건 형평성, 투명성 문제다. 조세 형평성을 재고하고 국민이 낸 돈을 가지고 국민에게 투명하게 되돌려주는 조세정책 개혁을 이루면 국민을 설득할 수 있다"며 증세 문제를 피해가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