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IMF 크리스틴 라가르드 총재(왼쪽)와 유일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지난달 독일에서 열린 G20 재무장관회의에서 인사를 나누고 있다. /사진=뉴시스(기획재정부 제공) |
IMF가 우리나라 성장률 전망치를 올려잡았다. 국제통화기금(IMF)이 18일(현지시간) 발표한 ‘세계경제전망’에 따르면 한국의 올해 성장률은 2.7%로 예상됐다.
이는 지난 3월 ‘G20 감시보고서’에 제시된 전망치 2.6%에 비해 0.1%포인트 늘어난 수치다. 2018년 성장률 전망은 2.8%를 유지했다. 세계경제에 대해서는 지난 1월 전망인 3.4%에서 3.5%로 0.1%포인트 올렸다.
IMF의 우리나라 성장률 상향 전망은 한국은행의 2016년 성장률 잠정치를 반영해 상향조정한 것이다. IMF는 선진국 성장률도 올해 0.1%포인트 상향해 2.0%로 전망했고 내년(2.0%) 전망은 유지했다.
미국은 견고한 소비증가세와 확장적 재정정책에 대한 기대 등으로 2017년 2.3%, 2018년 2.5%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영국의 경우 브렉시트의 부정적 영향이 당초 예상보다 점진적으로 나타날 것으로 보여 올해 2.0%(기존 전망 1.5%), 내년 1.5%(기존 전망 1.4%) 성장할 것으로 예측했다.
유로존은 일부 국가의 선거 일정 등 정치적 불확실성이 잠재해 올해와 내년 성장률을 각각 1.7%와 1.6%로 예상했다. 당초 전망치보다 올해 성장률은 0.1%포인트 올렸고 내년 전망은 유지했다.
일본은 견조한 순수출로 성장세를 나타내 2017년 성장률 전망치를 0.8%에서 1.2%로 끌어올렸다. 이후 경기부양책 종료 및 수입 회복으로 성장세가 둔화돼 2018년 0.6%까지 떨어질 것으로 봤다.
신흥개도국은 올해와 내년 모두 기존 전망을 유지해 각각 4.5%, 4.8%로 발표했다. IMF는 "선진국은 잠재성장률 제고, 신흥국은 금융취약성 완화가 정책 우선 순위다. 다자무역체계 유지, 조세회피 방지 등을 위한 국제공조도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선진국에 대해서는 "잠재성장률 제고를 위한 구조개혁이 필요하다. 성장 지원을 위한 통화 및 재정정책을 국가별 여건에 맞춰 시행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신흥국에 대해서는 "원자재 가격 하락에 따른 수익 감소에 대응하고 높은 기업부채 등 금융취약성을 완화하기 위한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