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금융감독원. /사진=뉴스1 |
지난해 직장인 3명 중 1명이 연금저축에 가입한 것으로 조사됐다.
오늘(26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2016년 말 연금저축 가입자는 556만5000명으로 전년(550만1000명)보다 1.2%(6만4000명) 증가했다. 근로소득자가 1733만명(2015년, 국세통계연보)인 것을 감안하면 직장인 32.1%가 가입한 셈이다.
총 계약 건수는 696만1000건으로 가입자 82%는 1개 상품에 가입하고, 15%는 2개 상품에 가입했다. 가입자의 연금 수령액은 1조6401억원(53만4000건)으로 전년(1조3595억원)보다 20.6%(2806억원) 증가했다. 다만 계약당 연금 수령액은 307만원(월평균 26만원)으로 전년(331만원, 월평균 28만원)보다 7.2%(24만원) 감소했다.
연간 수령액 200만원 이하 계약이 전체 과반(50.2%)을 차지하고 200만~500만원 계약도 전체 30.8%에 해당하는 등 500만원 이하가 81.0%를 차지했다.
적립금은 118조원(계약수 696만건)으로 전년(108조7000억원)보다 8.5% 증가했다. 국민·퇴직·개인연금 총액 1016조원 대비 11.6% 수준으로 계약당 평균 적립금은 1695만원으로 조사됐다.
유형별로 보면 보험이 88조1000억원으로 전체 적립금 74.7%를 차지했다. 이어 신탁 16조1000억원(13.7%), 펀드 9조7000억원(8.2%) 순이었다.
총 납입액은 10조7155억원으로 전년(11조570억원)보다 3.1%(3415억원) 감소했다. 계약당 납입 금액은 223만원(납입액 0원인 경우 제외)으로 세액공제한도(400만원)의 56%에 불과했다.
지난해 연금저축 신계약 수는 총 43만건으로 전년(44만9000건)보다 4.2% 감소했다. 펀드 신계약은 전년보다 41.1% 감소한 반면 신탁 신계약은 전년보다 109.1% 증가했다.
연금저축 해지계약 수는 총 34만1000건으로 1.6% 증가했다. 전체 계약 수(696만건) 4.9% 수준으로 전체건수 대비 해지계약 비중은 전년(4.9%)과 일치했다.
권오상 연금금융실장은 "국민연금과 연금저축을 동시 가입한 경우에도 월 평균 수령액은 60만원으로 1인 기준 최소 노후생활비 104만원의 58% 수준"이라며 "노후 대비 수단으로 연금저축 기능이 크게 미흡하다"고 설명했다.
권 실장은 "통합연금포털과 '연금저축어드바이저'에 대한 홍보를 강화하고, 금감원 금융교육 강의안의 연금 부분을 확대하는 등 노후 준비 인식을 제고하고 현행 연금저축상품 외에도 투자일임계약, 중도인출 가능 보험 등 다양한 상품 개발을 지원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