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뉴스1DB |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로 한·일 양국의 정상들이 즉각적인 대응에 나섰다.
문재인 대통령은 14일 북한 탄도미사일 발사와 관련해 오전 7시 청와대에서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긴급 소집, 주재했다.
청와대는 이날 "문 대통령의 긴급지시로 NSC가 7시부터 소집됐고 대통령이 참석한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북한의 탄도 미사일 발사 직후 김관진 국가안보실장으로부터 보고를 받고 NSC 소집을 긴급 지시했다. NSC를 직접 주재한만큼 새 정부 들어 첫 탄도미사일 발사를 감행한 북한에 대해 직접 메시지를 발신할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NSC는 대통령 주재 회의로 국무총리와 외교부 장관, 국방부 장관, 통일부 장관, 국가정보원장, 국가안보실장, 비서실장 등이 참석한다. 새 정부 내각 구성이 완료되지 않아 이날 회의는 기존 정부 장관들과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 정부도 북한의 미사일 발사와 관련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소집, 대책을 논의하는 등 신속한 대응에 나섰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는 이날 NSC 개최에 앞서 기자들과 만나 "국제사회의 강한 경고에도 불구하고 또 북한이 미사일 발사를 강행했다"며 "절대 용인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거듭되는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는 우리나라에 대한 중대한 위협이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를 명확히 위반한 것"이라며 "우리는 북한에 대해 강하게 항의한다"고 강조했다.
청와대는 이날 "문 대통령의 긴급지시로 NSC가 7시부터 소집됐고 대통령이 참석한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북한의 탄도 미사일 발사 직후 김관진 국가안보실장으로부터 보고를 받고 NSC 소집을 긴급 지시했다. NSC를 직접 주재한만큼 새 정부 들어 첫 탄도미사일 발사를 감행한 북한에 대해 직접 메시지를 발신할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NSC는 대통령 주재 회의로 국무총리와 외교부 장관, 국방부 장관, 통일부 장관, 국가정보원장, 국가안보실장, 비서실장 등이 참석한다. 새 정부 내각 구성이 완료되지 않아 이날 회의는 기존 정부 장관들과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 정부도 북한의 미사일 발사와 관련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소집, 대책을 논의하는 등 신속한 대응에 나섰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는 이날 NSC 개최에 앞서 기자들과 만나 "국제사회의 강한 경고에도 불구하고 또 북한이 미사일 발사를 강행했다"며 "절대 용인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거듭되는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는 우리나라에 대한 중대한 위협이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를 명확히 위반한 것"이라며 "우리는 북한에 대해 강하게 항의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