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 주택전월세 전환율(단위: %). /자료=서울시 |
23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이 기간 서울 시내 반전세 주택 전월세전환율은 지난해 4분기 대비 0.5%포인트 상승한 5.2%로 집계됐다.
서울 자치구별 전월세전환율은 금천구가 6.5%로 가장 높았다. 이어 동대문구가 6.1%, 서대문·성북구가 6%로 뒤를 이었으며 강동구는 4.3%로 가장 낮았다.
권역별로는 도심권(종로·중구·용산구)과 서북권(서대문·마포·은평구)이 5.6%로 높게 나타난 반면 동남권(서초·강남·송파·강동구)은 4.7%로 나타났다.
주택 유형별로는 서북권 단독·다가구가 최고수준인 6.6%로 집계됐으며 동남권 다세대·연립이 4.5%로 최저수준을 보였다.
특히 전세보증금 수준이 1억원 이하일 때 6.5%로 1억원 초과일 때(4.3~4.6%)보다 연 2%포인트를 더 부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억원 이하 단독·다가구 주택은 6.9%로 아파트보다 높은 이율로 전환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오피스텔과 원룸 등 비주택 전월세전환율은 7%로 이는 전 분기(5.7%)보다 1.3%포인트 오른 수치다.
정유승 서울시 주택건축국장은 “올 1분기 전월세전환율은 도심권 아파트와 동북·서북권의 단독다가구에서 비교적 높게 상승했으며 이는 한강이북지역 월세 부담이 보다 높다는 것”이라며 “지난 3년간 꾸준히 하향하던 전월세전환율이 지난해 11·3 대책 이후 주택구매가 보다 신중해 지면서 전월세 수요 증가로 이어진 효과일 것”이라고 분석했다.
한편 전월세전환율은 전세금을 월세로 전환할 때 적용하는 비율로 이 비율이 높으면 상대적으로 전세보다 월세 부담이 크다는 의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