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낙동강 6개 보 개방. 사진은 낙동강 달성보. /자료사진=뉴시스 |
정부는 2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관계부처 합동 브리핑을 열고 6월1일 오후 2시부터 낙동강의 고령보·달성보·창녕보·함안보, 금강의 공주보, 영산강의 죽산보를 상시 개방한다고 밝혔다.
이는 22일 문재인 대통령이 업무 지시를 내린데 따른 후속 조치다. 최근 악화하고 있는 녹조 발생 등 수질 악화의 주요 원인으로 4대강 보가 지목되면서다.
녹조는 남조류의 대량 증식으로 발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영양물질, 일사량, 수온, 체류 시간 등이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데 4대강 사업으로 16개 보가 설치됨에 따라 유속이 느려져 체류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발생했다.
이번 조치에 들어가는 6개 보는 모내기철인 것을 고려해 농업용수 이용에는 지장이 없는 수위인 1단계까지 개방이 이뤄진다. 낙동강 고령보는 보 상시 개방을 통해 기존 수위보다 1.25m 낮은 18.25EL.m(해수면 기준 높이)로 수위가 유지된다.
이 외에도 △달성보 13.5EL.m(0.5m↓) △창녕보 9.5EL.m(1m↓) △함안보 4.80EL.m(0.2m↓) △금강 공주보 8.55EL.m(0.2m↓) △영산강 죽산보 2.50EL.m(1m↓) 등으로 수위를 조절한다.
개방 수위는 보 관리 기관과 양수장 관리 기관의 현장조사, 인근 지역 주민과 지방자치단체의 의견 수렴 등을 토대로 결정됐다. 보 개방은 수생태계와 농업용수 사용을 고려해 시간당 2~3cm 수준으로 이뤄진다. 목표 수준까지 개방하기 위해서는 1~3일이 소요될 전망이다.
이윤섭 환경부 기획조정실장은 "6개 보의 개방 수준은 양수제약수위에 미치지 않도록 해 농업용수 공급에 문제가 없다"며 "수상레저 등 수변시설 이용에도 영향이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설명했다. 이번 상시 개방에서 제외된 10개 보에 대해서는 개방 수준과 방법을 단계별로 확정해 나간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