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림그룹의 지배구조 최상단에 있는 지주사 제일홀딩스의 최대주주는 김홍국 회장(지분 41.78% 보유)이다. 이어 한국썸벧(37.14%), 올품(7.46%) 등이 제일홀딩스 지분을 차지하고 있다. 한국썸벧과 올품은 김 회장의 장남 준영씨가 지배하는 개인 회사다. 준영씨는 올품 지분 100%를, 올품은 자회사 한국썸벧 지분 100%를 보유하고 있다. 즉, 제일홀딩스 지분 44.6%를 쥔 준영씨가 ‘올품→한국썸벧→제일홀딩스→하림’의 구조로 그룹을 지배하는 셈이다.
특히 이 과정에서 준영씨는 2012년 김 회장으로부터 올품 지분 100%를 물려받으면서 100억원대 증여세를 낸 것으로 알려졌다. 이 증여세는 지난해 올품이 지분 100%를 갖고 있는 준영씨를 대상으로 6만2500주의 유상감자를 실시해 지급한 100억원으로 납부됐다.
![]() |
김홍국 하림 회장. /사진=머니투데이 이동훈 기자 |
유상감자는 주주가 회사에 본인 주식을 팔고 회사로부터 돈을 받는 방식을 말한다. 준영씨의 올품지분 100%는 그대로 유지하면서 회사로부터 100억원을 받아 증여세를 납부한 것이다. 이에 따라 재계 안팎에서 편법증여가 아니냐는 지적이 끊임없이 제기된다.
게다가 지주회사인 제일홀딩스가 상장하면 김 회장과 일가가 보유한 제일홀딩스 지분가치는 더욱 높아질 전망이다. 상장 희망공모가 상단(2만2700원)을 적용할 경우 김 회장이 보유한 제일홀딩스 지분가치는 4800억원에 달하고 준영씨의 제일홀딩스 지분가치는 5000억원 이상이 될 것으로 추정된다.
회사 측은 지배구조 개편 과정일 뿐 처음부터 2세 승계를 염두에 둔 것은 아니라는 입장이지만 김 회장의 편법 승계 의혹은 말끔히 해소되지 않는다.
☞ 본 기사는 <머니S>(www.moneys.news) 제492호에 실린 기사입니다.